안철수연구소 신입사원 교육 받고 뿌나 생각한 이유
2011년 12월 22일 안철수연구소(안랩) 3박 4일의 합숙이 끝나는 날, 때마침 SBS의 ‘뿌리깊은 나무’가 최고 시청률 23.6%를 기록하며 막을 내렸다. 마지막 회를 보며 우리 민족 역사에 큰 업적을 남기신 세종대왕을 생각하며 울컥한 심정을 억누를 수가 없었다. 저녁밥을 먹다가도 그 여운 때문에 목 넘김이 수월치 못했다. 그래서, 그 아쉬움을 달래기 위해 드라마에서 묘사한 세종대왕의 말씀들을 되뇌이고 있었다.
세종대왕께서는 백성을 사랑하였기에 백성들과 소통하기 위하여 한글을 창제하셨고 또 백성들이 그러한 글자를 사용하여 하루하루 살기에 바쁜 삶에서 자신만의 꿈을 갖고 행복하게 살아가기를 바라셨다. 이러한 세종대왕의 진의에 대하여 숙고해보던 중, 합숙 기간 동안 받았던 강연들의 의미가 오버랩되는 것을 자연스레 느낄 수 있었다.
우리 공채 8기는 3박 4일 동안 여러 강연들을 통해 앞으로 회사 생활에서 나의 꿈을 갖고 이를 위해 실천하며 회사 선후배님들과 함께 조화롭게 회사를 이끄는 방법들에 대해 생각해보고 배울 수 있는 시간을 가졌다.
드라마에서 나온 세종대왕의 대사와 같이, 600년 동안 이어진 또 다른 백성인 우리는 자신이 욕망하는 바를 갖고 이를 위해 달려갈 수 있는 기회를 갖고 있다. 그 기회를 잡기를 세종대왕은 원하셨고, 똑같은 마음이 합숙 기간의 강사님들에게도 모두 한 편에 자리잡고 있었다.
訓伲正音(훈이정음). 우리(이,伲) 공채 8기를 가르치는 바른 소리. 우리 공채 8기를 존중하고 애정을 담아 가르쳤던 3박 4일 동안의 이 모든 소리들은 세종대왕의 진의와 그 궤를 같이 하기에 이러한 정의는 무리가 없어 보인다.
우리가 이러한 소리와 마음들을 잊지 않는다면 모두 세종대왕이 바라던 스스로의 꿈을 갖고 다른 사람들과 소통하면서 살아가는 자랑스런 사회인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우리 8기 동기들의 건투를 빌며 글을 마친다.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