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 참가해 받은 충격
10월 29일부터 30일까지 ACM-ICPC가 대전 카이스트 문지 캠퍼스에서 열렸다. 이는 ACM(Association of Computing Machinery : 미국 컴퓨터 학회)이 주최하고, IBM이 후원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대학(원)생 대상 프로그래밍 경시대회(ICPC : International Collegiate Programming Contest)이다. 2001년부터 아시아 지역 예선 서울 대회는 KAIST와 행정안전부가 주관하여 '전국 대학생 프로그래밍 경시대회'를 겸하여 열린다.
본 대회에 앞서 열린 practice-day에서는 총 2문제가 각 팀에 제시되었다. 첫 문제는 매우 간단했다. 주어진 입력 값을 가지고 단순한 사칙연산만 하면 쉽게 풀렸다. 하지만 둘째 문제는 첫 문제와는 하늘과 땅 차이였다.
다음 날 대회를 위해서 두뇌회전을 해주려는 의도였는지 난이도가 높았다. 출전 팀 중에서 한 팀만 문제를 해결했다.
다음날 대회는 10시부터 열렸다. 총 5시간 동안 10문제가 각 팀에 주어졌는데, 순위를 결정하는 요소는 크게 3가지였다. 첫째, 문제를 많이 풀어야 한다. 둘째, 시간이다. 같은 문제를 풀어도 누가 먼저 풀었느냐에 따라서 순위가 달라진다. 마지막으로 누가 더 적게 문제를 채점자에게 전달하느냐이다. PC2라는 툴을 이용하여 채점자에게 솔루션이 전달되면 채점자는 그 문제에 대한 적절한 솔루션인지 판단하여 YES 또는 NO라는 대답을 주는데, 여기서 푼 문제 수가 같고 시간도 같다면 누가 더 적게 솔루션을 제출했느냐에 따라서 순위가 결정된다.
내가 속한 팀을 포함한 60여 팀은 수상의 영광을 누리지 못했다. 하지만 중요한 것은 5시간 노력한 그들의 열정이 아닐까. 집에 오는 기차에서 많은 생각을 했다. 정말로 뛰어난 사람이 많구나 하는 생각, 더욱 더 노력해야겠다는 생각까지. 내년, 그리고 그 다음에도 열정을 가진 대학생들이 만드는 멋진 ACM-ICPC 대회가 되길 기대해 본다.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