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라이프/이슈&이슈

네이버-안랩-KISA, IE 취약점 악용 악성코드 전용백신 제공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포털(네이버), 보안업체(안랩)가 날로 심각해지는 악성코드 확산 방지를 위해 공동대응에 나선다.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포털(네이버), 보안업체(안랩) 등은 5, 최근 인터넷 익스플로러(IE, Internet Explorer)의 취약점을 악용해 디도스(DDoS, Distributed Denial of Service,분산 서비스 거부) 유발 및 계정 정보유출 등을 시도하는 악성코드가 확산됨에 따라 이용자 피해 방지를 위해 공동 대응을 추진한다고 발표했다


이 악성코드는 지난 10월 발견된 IE 취약점을 악용한 것으로,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제공하고 있다. 만일 백신을 설치하지 않았거나 보안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PC 사용자가 늘어날 경우 급속한 감염 피해 확산으로 이어질 위험이 있어 이를 사전차단하기 위해 공조에 나섰다고 밝혔다


KISA는 악성코드에 감염된 PC가 인터넷에 접속 시 팝업 창을 통해 감염사실을 알리고 전용백신으로 치료할 것을 안내하고 있으며, 안랩도 전용백신을 개발하여 보급하고 있다. 네이버는 메인 페이지에 IE 취약점 패치 권고 및 전용백신 검사 권고문을 게시하는 등 사용자 조치를 유도하여 사전 피해 방지에 나선다


IE 사용자는 반드시 보안 업데이트를 실시하고, 그간 백신을 설치 않았거나 최근까지 백신 업데이트를 하지 않은 PC이용자는 반드시 전용백신을 다운받아 검사를 해봐야 한다. 또한 백신이 이미 설치되어 있어도 악성코드의 복합적인 기능에 악용되지 않기 위해서 전용백신으로 반드시 검사해보는 것이 더욱 안전하다.

 
–전용백신 배포 사이트: 
http://www.boho.or.kr/kor/download/download_03_1.jsp
(188 Trojan.Win32.Bot.B 치료용 전용백신)


한국인터넷진흥원(KISA) 전길수 침해사고대응단장은 “최근의 악성코드의 공격은 기관 전산망 마비, 기업 기밀정보 유출, 개인의 금전피해 유발 등의 구체적 목적을 가지고 있으며 침투방식도 점차 악랄해지고 있다”며, “지금처럼 기관과 기업의 유기적 공조와 PC 사용자의 적극적인 협조가 맞물려야 사전 피해 차단이 가능하다”고 말했다.


네이버 김재동 IT보안실장은 "포털은 사용자 보안 강화를 위해 지속적인 노력을 하고 있고,사용자의 정보를 갈취하거나 대규모 디도스 공격에 활용되는 악성코드 전파를 최소화 할 수 있도록 금번 캠페인에 적극 참여하겠다" 고 밝혔다.


안랩 이호웅 시큐리티대응센터장은 “기존 백신 업데이트 및 검사로는 해당 악성코드 치료가 어려운 경우도 있어, 사용자는 반드시 전용 백신을 사용해서 삭제해야 한다”며 “또한 IE브라우저 사용자들은 마이크로소프트에서 제공하는 보안패치를 반드시 적용하고, 브라우저를 최신으로 업데이트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당부했다.


------------[참고 자료]------------


1. 악성코드 유포 방법

해당 악성코드는 지난 10월에 발견된 IE(인터넷 익스플로러, 인터넷 접속 시 사용하는 브라우저의 종류)의 취약점(CVE-2013-3897)을 악용했다. 사용자가 해당 취약점이 존재하는IE를 사용하는PC로 악성코드를 유포하는 웹사이트에 접속하기만 해도 감염된다. 현재 마이크로소프트에서는 해당 취약점에 대한 보안 패치를 제공하고 있다.


2. 악성코드 기능

이번 악성코드는 최초 감염 시, 다른 기능을 가진 악성코드 8종을 연속으로 설치한다. 주요 기능은 △백신무력화 시도 △디도스 공격 △감염PC에서 관리자용 웹사이트 접속 시 접근 계정 탈취 △감염 PC의 온라인게임 계정 탈취 등이다.


감염된 PC에 모든 악성코드의 설치가 끝나면, 해커로부터 명령을 받아 특정 서버를 대상으로 디도스 공격을 수행할 수 있으며, 동시에 기업 내 관리자가 주로 접속할 것으로 추정되는URL을 악성코드에 입력시켜 놓고, 감염 PC에서 해당 URL에 접속할 시 로그인 정보를 탈취하는 기능도 가지고 있다. 또한 감염PC에서 온라인게임 사용자 계정도 탈취한다.


3. 악성코드의 위험성

현재 안랩과 네이버에서 확인한 악성코드의 기능과 확산 추세로 볼 때, 주요 계정 정보 유출,기업 내부 침입, 디도스 등 다양한 목적으로 악용이 가능하며, 피해를 사전 차단하기 위해서는 대응책 마련이 필요한 상태로 주의가 필요하다. Ah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