3월 20일 코엑스 그랜드볼룸에서 (사)한국침해사고대응협의회가 주관한 'CONCERT FORECAST 2013 - 기업 정보보호 이슈 전망'에 다녀왔다.
CONCERT FORECAST는 2007년부터 정보보호 사용자와 벤더의 입장에서 정보보호 이슈를 선정하여 매 년 세미나를 개최해왔다. 키노트 스피치에 이은 4가지 주제 발표와, 해커의 입장에서 본 2013년 이슈에 대해 패널들이 토론하는 프로그램이 진행되었다.
시간 |
프로그램 |
발표자 |
09:30~09:50 |
행사등록 |
|
09:50~10:00 |
경품 추천 및 행사안내 |
|
10:00~10:40 |
[Keynote] 기업 정보보안을 위한 최고경영자의 역할 |
김세헌 교수(KAIST) |
10:40~11:40 |
[Issue 1]기업보안과 통합 모니터링 A. 보안분석(모니터링)을 통한 개인정보 유출사고 예방 B. 시큐리티 인텔리전스의 활용을 통한 효과적인 통합 보안 모니터링 방안 |
김재수 팀장(LG전자) 나병준 차장(한국IBM) |
11:40~12:40 |
[Issue 2] 개인정보보호화 컴플라이언스 대응 A. 네이트 손해배상 판결의 분석과 전망 B. 최근 판례로 보는 개인정보 유출사고 재발방지기능 소개 |
구태언 변호사(테크앤로) 최일훈 부사장(소만사) |
12:40~14:00 |
중식 및 부스관람 |
|
14:00~15:00 |
[Issue 3] 내부정보 유출방지와 DLP A. 외부 파트너사 등의 효율적 관리를 위한 내부통제 설계방안 B. 법적 준거성 마련을 위한 공공기관 보안정책과 시스템 구현방향 |
신동혁 팀장(쿠팡) 김요셉 소령(방위사업청) |
15:00~16:00 |
[Issue 4] NAC/MDM/APT on BYOD A. 차세대 위협사례 분석 및 보안 위협 대응 방안 B. BYOD를 위한 효율적인 모바일보안 구축방안과 사례 |
김현준 이사(파이어아이) 강정구 부장(지란지교 소프트) |
16:00~16:20 |
coffee break |
|
16:20~17:30 |
Special Panel: Hacker's Thoughts on 2013 Panel:최상명 팀장(하우리), 이주호 중국지사장(CN시큐리티), 홍민표 대표(에스이웍스) |
|
17:30~18:00 |
경품 추첨 및 폐회 |
[키노트] 기업 정보보안을 위한 최고경영자의 역할 - 김세헌 교수(KAIST)
기조연설을 맡은 김세헌 교수는 기업의 정보보안을 위해서는 기술적 방비와 제도적 방비를 갖추어야 한다고 말문을 열었다. 이어서 "이제까지 정보보호는 주로 CIO(Chief Information Officer: IT 담당 중역)이 책임지고 있었지만 CIO가 정보보안을 전반적으로 통제하기 어렵기 때문에 경영 측면에서 CSO(Chief Security Officer: 정보보안 담당 중역)가 필요하다. IT 전담부서와 분리하기를 권한다."라고 말했다.
또한 CEO의 역할에 대해 2011년 가장 큰 보안 사건이었던 H사 해킹 사건과 N사 전산 장애 사건을 예로 들었다. 당시 H사는 42만 명의 고객 정보가 해킹되었으며, N사는 외부 업체 직원의 노트북을 통한 공격으로 전산 업무가 며칠 간 중단되었다.
김 교수는 두 회사의 CEO가 보안 사고를 보는 상반된 시각에 주목했다. H사 사장은 '보안 문제는 CIO와 CSO만의 문제가 아닌 CEO가 직접 챙겨야 할 문제이다. 보안만 전담하는 조직을 IT와 별도로 설립하겠다'며 정보보안 관리 체계가 적절히 운영될 수 있도록 경영 관리의 틀을 구축하였다. 반면 N사 회장은 인터뷰에서 "이렇게 (사건이) 생긴 것은 내가 알고 어떻게 할 수 있는 게 아니다."라고 말했다. 정보보안에 대한 CEO의 역할을 다시 한번 생각하게 해주는 사례였다.
[Issue 1] 기업 보안과 통합 모니터링
모니터링이란 로그, 정보 유출, 관제 등 대상에 따라 다양하게 나타낼 수 있는 개념이다. 올해의 기업 정보보호 이슈에 모니터링이 포함된 것은 늘어나는 보안 위협으로 인해 실시간으로 모니터링을 해야 한다고 느낄 만큼 긴장감이 고도로 증가했다는 의미를 반영한다. 특히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사고를 모니터링한다는 것은 까다로운 일이다.
김재수 팀장은 "LG전자는 그에 대한 예방책으로 다양한 보안 로그와 보안 정책, 취약점을 통합 분석하여 통합 보안 분석 시스템을 구축하였고, 위험인자와 패턴을 분석하여 위험 관리 대상으로 분류했다. 내부자로 인해 개인정보가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자동으로 모니터링 시스템에 등록하는 모델을 구축했다."라고 소개했다.
나병준 차장은 한국IBM의 보안 인텔리전스 솔루션을 소개했다. 그는 "최근 APT 공격과 같이 지능화한 공격으로 인해 모니터링의 중요성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과거의 로그와 패턴 기반 분석의 모니터링에서 발전하여 현재는 실시간 모니터링이 요구된다. 맥락(context) 인식을 기반으로 악의적인 행위를 탐지하는 모니터링을 보안 인텔리전스라고 한다."라고 설명했다.
[Issue 2] 개인정보보호와 컴플라이언스 대응
구태언 변호사는 2011년 대형 포털의 고객 정보가 대거 유출된 사고의 판결을 설명했다. 당시 3500만 명의 ID, 비밀번호, 이름, 주민등록번호 등 개인정보가 해킹되었다. 이에 보안상 관리 책임을 묻는 집단 손해배상 소송이 이루어졌다.
그는 1, 2차 판결을 다음과 같이 요약했다.
| 1차 판결 | 2차 판결 |
해킹사고방지 주의 의무 | 기술/관리적 조치의무 위반 없음 | 개인정보 보호의무 위반, 과실인정 |
개인정보 불법 유출탐지 | 주의의무 위반 없음 | 주의의무 위반 인정 |
공개용 알집 SW 사용 | 상당 인과관계 부정 | 상당 인과관계 인정 |
손해배상 책임범위 | 해당사항 없음 | 정신적 손해 : 200,000원 |
결론 | 원고 청구 기각 | 원고 청구 인용 |
이어서 "이전에 발생한 개인정보유출 사고의 1차 판결과는 다르게 원고 청구를 인정해준 상황이다. 그러나 정보보호의무와 관련하여 의도된 공격에 대해 법적인 책임을 가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 또한 과도한 책임의 부여로 신규 시장 진입을 막는 계기가 될 수도 있다."라고 말했다.
다음으로 최일훈 부사장(소만사)은 개인정보 유출 사고가 재발되지 않기 위한 기술적 보호 조치를 소개했다.
[Issue 3] 내부정보 유출방지와 DLP
기업의 정보에 위협을 가하는 요소는 해킹 같은 외부 환경 요소도 있지만, 내부자에 의한 정보 유출도 있을 수 있다. 고객 정보만이 아닌 기업 내부의 기밀 정보나 기술에 대한 위험은 예전부터 있어왔다. DLP (Data Loss Prevention; 내부정보 유출방지) 솔루션은 이의 대응 솔루션이다. 이 세션에서는 내부정보유출 방지 이슈를 기업 내부의 통제와, 보안 정책의 시점에서 설명했다.
신동혁 팀장(쿠팡)은 "기업의 비즈니스 환경과 컴플라이언스는 지속적으로 변한다. 개인정보보호법과 정보통신망법이 개정되었고, 다양한 통제 항목이 존재해 많은 보안 담당자가 운영의 어려움을 느낀다."라고 운을 뗐다.
이어서 "최근 지능적 공격이 급증하는 추세이지만 해킹에 의한 사고는 15% 내외에 그친다고 한다. 대부분의 기업에 가장 큰 피해를 주는 것은 내부 직원 혹은 퇴직 직원이 일으키는 정보유출 사고이다. 따라서 내부 통제 설계가 중요하다."라고 강조했다.
또한 내부 통제에 정책적, 기술적 운영 및 모니터링과 아웃소싱 관리 방법에 관해 업무 현황을 반영한 통제 정책이 필요하며, 최적화한 지속적인 관리가 필요하다고 말했다.
다음으로 김요셉 소령(방위사업청)은 "내부정보가 유출되는 관점이 기업은 정보의 보호인 반면, 공공기관에서는 통제의 관점을 가진다. 따라서 공공기관은 기업과 달리 이슈 대응이 아닌 불법적인 정보의 활용을 차단하고자 하며, 가용성 기반의 정보보호를 추구한다."라고 설명했다.
[Issue 4] NAC/MDM/APT on BYOD
BYOD(Bring Your Own Device)는 모바일 기기가 대중화하는 요즘 뜨는 단어다. 개인용 기기인 스마트폰, 태블릿PC 등이 기업 안에서 사용됨에 따라, 다양한 모바일 보안 위협에 어떻게 대응할지 알아보는 시간이었다.
김현준 이사(파이어아이)는 최근 규모가 컸던 보안 위협 사례를 설명했다. 뉴욕타임즈, 워싱턴포스트, 월스트리트저널을 겨냥한 APT 비롯해 애플과 페이스북의 Mac OS 해킹 사례, RSA 스피어피싱, 러시아대 산하 우주과학연구소 해킹 사고를 언급했다.
강정구 부장(지란지교소프트)은 대다수 모바일 보안 위협의 대안으로 모바일 단말관리 솔루션인 MDM(Mobile Device Management) 솔루션을 소개했다. MDM은 최근 금융권과 공공기관에서 적극 도입하는 솔루션이다.
모바일 보안 위헙 요소의 대책
기업의 정보보호 이슈에 대한 주제라 학생으로서 소화하기에는 다소 어려웠던 게 사실이다. 하지만, 장차 기업에서 보안 업무를 담당하고 싶은 나에게 이번 세미나는 올해 기업에서 관심을 갖는 보안 이슈에 대한 정보와 값진 경험을 주었다. Ahn
대학생기자 이수진 / 순천향대 정보보호학과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 되자!
언젠가 제 일에 대하여 대가를 얻을 때,
"저 사람은 그럴 만한 가치가 있는 사람이야."
라는 말이 아깝지 않을 만큼 스스로를 성장시키겠습니다.
'현장속으로 > 세미나'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환경 변화와 네트워크 접근 통제의 미래 (0) | 2013.03.26 |
---|---|
CEO 진단, 최신 APT 공격 어떻게 막을까 (0) | 2013.03.25 |
굴뚝 공장도 첨단 산업으로 탈바꿈시키는 기술들 (4) | 2013.03.19 |
보안 공부 무엇부터 해야 할지 알려주는 해킹 캠프 (0) | 2013.03.13 |
48시간 안에 게임을 완성하라, 미션 첫 도전기 (0) | 2013.01.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