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컬처리뷰

<Her> 우리는 모두 ‘그녀’가 필요하다.

 

<Her> 우리는 모두 그녀가 필요하다.

 

 영화는 주인공 테오도르가 로맨틱한 편지의 한 대목을 써내려가는 장면으로부터 시작한다. 언뜻 보면 여주인공에게 바치는 달콤한 세레나데의 한 구절처럼 보이지만 실상은 얼굴도 모르는 누군가에게 보내는 대필편지이다. 테오도르는 다른 사람의 편지를 대신 써주는 대필작가이다. 타인의 마음을 대신 전해주는 일을 하고 있지만 정작 그 자신은 아내와 이혼을 준비하며 별거중이다. 아내와 헤어지고 무의미하게 반복되는 일상에 공허함과 외로움을 느끼던 테오도르는 인공지능 운영체제(OS)사만다를 만나게 된다. 언제나 자신의 말에 귀기울여 주고 이해해주는 사만다를 통해 그는 다시 사랑받음을 느끼고 사랑하는 법을 깨우친다.

 
<출처: 네이버 영화>


 이 둘의 로맨스는 꽤나 낭만적으로 그려진다. 테오도르는 귀에는 이어폰을 꽂고 셔츠 주머니에 인공지능 기기를 넣고 다니면서 그녀와 같이 해변을 걷고 노래를 부르는 등 일상을 함께한다. 사만다의 주문에 따라 길거리에서 우스꽝스러운 몸짓을 하는 테오도르는 영락없이 사랑에 빠진 남자다. 목소리밖에 존재하지 않지만 둘의 사랑은 현실의 일반적인 사랑과 별반 다르지 않아 보인다. 

 테오도르의 대필편지에서 그 대상은 실제로 존재하는 누군가이지만 테오도르가 편지를 쓰는 감정은 그 자신의 감정이 아닌 타인을 위해 가공되어진 허구이다. 인공지능 운영체제인 사만다는 실체가 없으며 실제로 존재하지도 않는다. 하지만 그런 그녀에 대한 테오도르의 감정은 진짜이며 진짜로사랑에 빠진다. 또한 남의 사랑이야기는 멋지게 대신 써주는 테오도르는 정작 자신의 아내에게는 사랑의 감정들을 잘 전달하지 못한다. 영화는 이러한 극명한 대비들을 보여주며 현실의 고립된 외로움을 꼬집는다.

 사람들이 궁극적으로 서로에게 원하고 바라는 건 서로에게 속해있다는 어떤 믿음, 그속에서 오는 정신적인 공유, 공감, 교감이 아닐까. 사람과의 관계에서 상처받고, 외로움과 공허함에 힘들어하던 테오도르가 실체가 없는 그녀와 사랑에 빠질 수 있었던 것도 그러한 사실 때문일 것이다. 다시 누군가와 늘 함께하며, 일상을 공유할 수 있다는 것은 인간과 인공지능, 가상과 실재, 존재와 비존재를 넘어서 크나큰 위로로 다가온다.



<출처: 네이버 영화>

 사만다는 테오도르에게 완전 맞춤형이다. 개인적인 취향, 취미, 일상에 따른 테오도르의 모든 정보를 꿰뚫고 있으며 그가 도움이나 위로가 필요할 때 언제나 옆에 있어준다. 하지만 그것은 사만다가 인공지능인 OS이기 때문에 가능한 이야기이다. 테오도르와 아내는 서로의 외로움을 채워주지 못하고 다르다는 이유로 헤어졌다. 사실 인공지능이 아닌 사람과 사람간의 관계에서 서로가 다르다는 것은 지극히 당연한 사실임에도 불구하고, 우리는 그 사실을 가끔 간과하며 살아간다. 영화는 역설적이게도 당신을, 당신에 의한 당신만을 맞춰주는 존재는 인공지능밖에 없다고 말한다. 다시 말해 사람과 사람간 관계에서는 서로에게 백퍼센트 맞춰지는 관계는 존재하기 어렵다는 것. 결국 우리는 상대방이 나만을 위한 OS가 아님을 인정하고 서로를 위해 조금씩 맞춰가고 또 맞추어지며 사랑할 수밖에 없다. 정말 운영체제(OS)와 사랑에 빠질 수 있는 시대가 오기 전까지는.

 

" 캐서린에게, 나는 여기 앉아서 당신에게 사과할 일들에 관해 생각하고 있어. 우리가 서로에게 준 상처들에 대해서. 내가 너의 탓으로 돌렸던 모든 것들. 난 그냥 너에게 미안하다고 말하기만 하면 되는거였는데. 난 앞으로도 늘 너를 사랑할거야. 왜냐면 우리는 함께 자라왔으니까. 너는 지금의 나를 만들어 줬어. 그냥 네가 알았으면 싶어. 내 속에는 너라는 한 조각이 남아있고, 난 그 사실에 너무 감사해. 네가 어떤 사람이 되건 네가 어디에 있건 너에게 사랑을 보낼게. 언제까지라도 넌 내 친구야. Love Theodore."

- 영화의 마지막, 전 아내인 캐서린에게 남기는 테오도르의 편지.


 대학생기자 김진영 / 성균관대학교 신문방송학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