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0 남아공 월드컵이 한 달 앞으로 다가왔다. 많은 사람들이 아프리카에서 처음으로 열리는 월드컵에 기대도 많이 하지만, 동시에 불안정한 남아공의 치안 때문에 원정 응원을 떠나야 하는 전세계 축구 팬이 불안해하는 것도 사실이다. 오늘은 세계사에서 소외되어왔던, 아니 아예 세계사를 배우는 과정에서 언급조차 없었던 아프리카의 역사를 정리한 '처음 읽는 아프리카의 역사'(2005. 웅진씽크빅)을 소개하고자 한다.
<출처: 다음 책>
많은 사람이 아프리카라는 말을 들으면 '검은 대륙'이라는 단어를 제일 먼저 떠올린다. 동시에 범죄와 기아, 그리고 무능력한 지도자들을 떠올린다. 하지만 이러한 생각은 아프리카인의 피부색과 아프리카에서 일어난 사건의 단면만을 확대해서 본 것일 뿐이다. 아프리카는 우리가 생각하는 것보다 훨씬 더 다채롭고, 다양하고, 오랜 역사를 지니고 있으며 또한 현재적이다. 다만 우리에게 아무것도 알려지지 않았을 뿐이다.
이 책은 아프리카의 다채로운 역사를 있는 그대로 보여준다. 대륙의 생성과 최초의 인간에 대한 이야기부터 그들이 어떻게 아프리카를 떠나 전세계로 퍼져나갔는지, 아프리카에 남은 사람은 어떻게 위대한 문명을 만들었는지를 설명해 준다. 그리고 500년 넘게 이어진 유럽의 식민 지배와 아프리카 국민이 어떻게 해방을 얻었는지, 그리고 자기들만의 길을 가는 현재의 모습까지를 가감 없이 보여준다.
유럽의 아프리카 지배 - 노예제도
아프리카의 궁핍한 오늘을 만든 것은 아프리카 각국을 식민지로 삼아 발전의 기틀을 마련한 유럽이다. 그 중에서도 대표적인 것은 노예제도이다.
유럽의 아프리카 지배 - 제국주의
'우리가 너보다 더 가치 있고 더 배웠고 영리하고 문명화되었다'라는 태도와 기치 아래에 유럽인은 아프리카인에 대한 지배를 정당화하기 시작하였다. 독일, 벨기에, 프랑스를 비롯한 수많은 유럽국가들은 아프리카에 경쟁적으로 자신들의 식민지를 건설하고, 선교사 혹은 의사를 파견하여 그들을 '개화'시키려고 하였다. 그러나 이들의 개화 목적은 자신들의 이익을 위한 것이었지, 결코 아프리카인의 삶의 질을 증진시키기 위한 것이 아니었다.
우리가 지구본 또는 세계지도에서 아프리카 대륙을 볼 때, 한 가지 의아한 점이 있다. 나라들의 국경이 자로 잰 듯이 반듯하게 그어져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출처: 두산백과>
다른 어떤 대륙에도 아프리카처럼 수천킬로미터 이상이나 직선으로 곧게 뻗은 국경선은 드물다. 이것은 지리적인 또는 종족적인 특성을 전혀 고려하지 않고 멋대로 갈라놓은 선이다. 제국주의 국가들이 망가뜨린 아프리카 국가들의 국경은 오늘날까지 이어져 아프리카에서 종족 간 수많은 내전과 갈등을 일으키는 요인이다.
아프리카의 해방 - 그러나.... 남은 문제들
2차 세계 대전 이후로부터 현재에 이르기까지 아프리카의 많은 나라는 독립을 쟁취하였다. 그러나 독립을 얻은 이후의 여정은 험난하기만 하다. 제국주의 시대의 지배자들이 멋대로 그어놓은 국경선 안에는 보통 서로 다른 20개 이상의 민족이, 이따금은 50개 이상의 민족이 살고 있었다. 또 일부 민족은 국경선 때문에 서로 뿔뿔이 흩어졌다. 식민 지배의 아픔, 뿔뿔이 흩어진 사람들 사이에서도 아프리카에는 몇몇 위대한 지도자가 나타나기도 했다. 그 중 하나는 세네갈의 레오폴드 셍고르이다.
세네갈은 아프리카에서 가장 평화로운 나라 중 하나로 꼽힌다. 물론 여기에도 다양한 종족 무리와 종교가 있다. 세네갈은 대서양 연안에서부터 300킬로미터나 길게 세네갈 대륙으로 자리잡은 감비아와 한 번도 갈등을 겪지 않았다. 오히려 1982년 이후로 두 나라에 경제적 이익이 되면서도 각자의 독자성을 확보해주는 연방을 이루었다. 가톨릭 교도인 셍고르는 처음부터 주민의 90퍼센트에 달하는 이슬람 교도에게 상호 존중의 정책을 펼쳤다. 그는 다양한 종교적, 종족적 출신 장관들과의 개인적인 친분과 협동의 예를 보여주었다. 셍고르는 1968년에 독일 서적상인 협회가 주는 평화상을 받았다. 그리고 1983년에는 아프리카 사람으로서는 처음으로 명성이 높은 프랑스 아카데미 회원으로 뽑혔다.
그러면서도 그는 단 한 번도 아프리카 문화 전통주의와 아프리카 사회주의 이념을 굽히지 않았다. 그는 아프리카 사람이 다른 대륙의 문화와 대화를 해야 하지만 그래도 독자적인 길을 찾아내야 한다고 확신하였다. 또한 사회주의 기본 이념이 아프리카에는 매우 소중한 것이라 여겼다. 언젠가 그가 말한것처럼 '옛날부터 나눔의 이념이 아프리카의 역사에서 중요한 것이었기' 때문이다. (p.206-207)
주류(유럽 혹은 미국) 시각으로 세계와 역사를 바라보는 것이 얼마나 위험한 일인지 새삼 깨달았다. 아프리카에도 이집트 문명, 13, 14세기의 말리 왕국 등 찬란한 문명이 있었고, 고유한 삶의 양식이 존재한다. 우리가 아프리카를 미개하다고 생각해온 이면에는 그들을 억압해 온 서구 유럽인의 관점이 그대로 투영되지 않았는가 생각해볼 일이다. Ahn
스티브 잡스가 스탠포드대학교 졸업식 축사에서 했던 한마디.
YOUR TIME IS LIMITED.
SO DON'T WASTE YOUR TIME LIVING SOMEONE ELSE'S LIFE.
나만의 방식으로, 내가 잘할 수 있는 일에 도전해서
최선의 결과를 얻는 삶을 살고 싶습니다.
'문화산책 > 서평' 카테고리의 다른 글
| 지금 당신 손에 든 커피가 금리 0.5%라면 (0) | 2010.09.02 |
|---|---|
| 구글은 일하기 좋은 회사? 들어가기 힘든 회사! (14) | 2010.06.02 |
| 정신병은 의학자와 제약회사가 만들어낸다? (6) | 2010.05.09 |
| 베르나르 베르베르의 기발한 상상, 파라다이스 (9) | 2010.04.02 |
| 감동적인 이야기 "엄마를 부탁해"를 읽고 나서 (8) | 2009.10.0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