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철수 (480) 썸네일형 리스트형 안철수가 말하는 나눔과 기부의 새로운 방법들 * 아래는 국학뉴스의 기사이며 기자의 허락을 받아 게재합니다. 안철수 카이스트 석좌교수와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이 나눔의 오늘과 내일을 논했다. 아름다운재단 창립 10주년 기념 컨퍼런스의 마지막 연사로 나선 두 사람이 대한민국에서의 나눔, 그 현재와 미래에 대해 서로 질문과 대답을 주고 받았다. 보통 사람들의 힘으로 새롭게 창조되는 나눔, 다양한 영역을 넘나드는 나눔, 더 혁신적인 도구와 아이디어로 사회의 모순을 해결하는 나눔에 대해 토론했다. (아래는 두 사람의 대담 원문) 시골의사 박경철 원장 (이하 박) 어린시절 굉장히 어렵게 자랐습니다. 그 시절에는 모두가 힘들었지만, 마음이 넉넉했지요. 그 때는 그 누구도 나눔에 대해 이야기하지 않았던 것 같습니다. 안 교수님 말씀처럼 지금 나눔이 화두가 되는 이.. 토요일을 나눔으로 채우는 아름다운 직장인들 안철수연구소가 지난 12월 18일 아름다운가게 양재점에서 한 아름다운토요일 행사가 잘 마무리되었습니다. 많은 직원의 기증 참여와 행사 당일 활동 천사 참여로 그 어느해보다 풍성한 행사가 아니었나 싶습니다. 기증 물품은 4,500점이 모였고, 일일 매출 또한 약 540만원으로 처음 500만원을 돌파했습니다. 또한 1일 활동 천사로 30여 명이 참여해 아름다운가게 관계자도 놀랄 정도였습니다. 한편, 안철수연구소가 2003년부터 올해까지 8년 간 활동한 결과는 이렇습니다. 누적 기증량 : 18,846점 누적 기부액 : 약 2,830만원 임영선 상무는 물품 기증과 활동 천사에 8년째 변함없이 참여해 와인병을 재활용한 감사패를 받았습니다. 김홍선 대표가 들고 있는 상패(?)는 숟가락을 재활용해서 만들었는데 '나눔.. 신입사원 되어 처음 경험한 직장 생활 생생 후기 취직 준비를 하던 제게 가장 화두가 되었던 것은 ‘옳은 일을 하며 살 수 있을까? 직장에 다니면서도 남에게 해 끼치는 일 하지 않고 살 수 있을까?’라는 질문이었습니다. 짧은 인턴 생활을 하면서 직장인이기에 옳지 않은 일을 해야 하는 상황을 보면서 제게 생긴 고민이었습니다. 많은 회사를 알아보았지만 결국 ‘그런 직장은 없는 것 같다’는 생각을 했던 제게 안철수연구소는 매우 특이한 회사였고 인터뷰하는 내내 보여주신 진실성과 자부심을 믿고 입사를 결정했습니다. 그랬기에 합격이 된 후, 처음으로 함께 일할 동기들과 지낼 기회인 연수가 제게는 회사 문화를 확인할 수 있는 매우 의미 있는 시간이었습니다. 기대 반, 걱정 반으로 나온 저처럼 다른 분들도 긴장된 모습으로 함께 연수를 떠났습니다. 선한 눈매에 조용한 .. 악성코드와 백신, 도전과 응전의 네버엔딩 스토리 '신들의 섬'이라 불리는 인도네시아 발리 섬에서 11월 17일부터 19일까지 13번째 'AVAR 국제 컨퍼런스'가 개최되었다. 휴양지인 발리 섬에서 열린 건 이번이 처음이다. AVAR(Association of anti Virus Asia Researchers)는 컴퓨터 바이러스의 확산과 피해를 막고 아시아 지역 안티바이러스 연구자의 협력 관계를 발전시키기 위해 설립된 단체이다. 아시아 태평양 지역을 활동 거점으로 회원국들이 구성되는데 세계적인 보안 기업들이 아시아 지역에 연구소를 설립함으로써 전세계 대부분의 보안 전문가가 참여하는 컨퍼런스로 확대되었다. 지난 9월 캐나다 벤쿠버에서 개최된 VB(Virus Bulletin) 국제 컨퍼런스에서는 스턱스넷(Stuxnet)이 가장 큰 이슈였다. http://b.. 안철수가 신입사원과 나눈 대화 10문 10답 12월 6일 안철수연구소는 공채 신입사원 20여 명이 첫 출근했다. 이에 앞서 합격자 발표 직후인 11월 11일에는 오리엔테이션이 열렸다. 창업주인 안철수 KAIST 석좌교수, 김홍선 CEO와 대화하는 뜻깊은 시간이었다. 마침 이날은 마침 안철수연구소 고유의 가래떡 데이 이벤트가 있는 날이라 미리 기업 문화를 체험하기도 했다. 선배들이 손수 환영 메시지를 담은 달걀 화분(에글링)을 선물하기도 했다. 안철수 교수와 대화하는 시간에 이들 당찬 신입사원들은 안철수연구소의 강점과 약점은 물론 향후 전략과 핵심가치, 그리고 IT의 미래 전망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질문을 거침없이 쏟아냈다. 안 교수는 안랩의 강점은 인지도보다 기본적인 정신이라고 강조했다. 장기적 시각으로, 국가적으로 필요한 일이라는 사명감을 가지고 .. 이전 1 ··· 30 31 32 33 34 35 36 ··· 96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