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철수

(480)
안철수연구소 청소년 보안교실 'V스쿨' 참가자 안내 미래 보안전문가를 위한 청소년 보안교실 ‘V스쿨 2010’의 참가자 명단을 알려드립니다!!! 강주오 김우진 노형빈 서동석 윤지원 이희상 한성종 강현철 김은지 박기원 서성원 윤지현 임선용 한송 고양덕 김정현 박대혁 서영봉 윤창빈 임원일 허수련 곽동혁 김주진 박민수 손동찬 이강일 장경훈 홍재영 권다슬 김지영 박상진 송찬영 이규형 장재우 홍정욱 권영훈 김진욱 박선녀 신준호 이다영 장한솔 황소민 권오승 김진혁 박재도 심기성 이대연 장한휘 황종원 김강현 김찬휘 박정호 심기영 이서의 전승훈 신영섭 김구민 김채원 박정환 심영석 이선형 전준엽 김태형(서울구로고등학교) 김국동 김태경 박종상 안기욱 이수연 정은예 김태형(경상공업고등학교) 김기현 김태규 박종찬 양승재 이용수 정해성 이수진(서울신도림중학교) 김동우 김태성 박..
안철수나 V3 외 안철수연구소 하면 떠오르는 것 B군~ 안철수연구소 하면 뭐가 떠올라? 무릎팍도사 출연 이후로 '안철수 신드롬'을 일으킨 안철수 박사님? 아니면 안철수연구소의 간판 브랜드 V3 ? 그래, 둘 다 안철수연구소를 대표하는 브랜드지. 특히 V3 는 대한민국 최초의 백신 프로그램으로 정말 많은 사랑을 받아 왔어. 그런데 그거 알아? 안철수연구소는 V3만 개발하는 회사가 아니야. 안철수연구소는 통합보안 회사거든. 그런 표정 짓지 마, 지금부터 설명해줄 테니까. 작년 5~6월에 '2009 AhnLan Integrated Security Fair' (안철수연구소 통합보안 세미나)를 부산, 대전, 전주, 광주, 대구의 지방 5개 도시에서 개최한 적이 있어. 목표는 안철수연구소가 통합보안 회사임을 알리는 것! 다시 말하지만 이미 V3는 충분히 유명해...
안철수가 실패에 대한 시각 교정 주장하는 이유 1월 15일 KBS 1TV에서 방송된 '일류로 가는 길'에 안철수 KAIST 석좌교수가 출연했다. 2005년 3월 안철수연구소 CEO 자리에서 물러나 유학을 갔다가 2008년 5월 귀국해 줄곧 기업가 정신의 중요성을 역설해온 그가 이 자리에서 우리 사회와 청년들에게 던진 메시지는 무엇일까? 그는 우선 기업가란 비즈니스맨이 아니라, 도전정신을 가지고 새로운 가치나 일자리를 창출하는 사람이라고 설명한 후 '기업가 정신'을 이렇게 정의했다. *기업가 정신: 창업 또는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일을 행동으로 옮기는 사람들의 활동들 여기서 기업가 정신이란 경영자 마인드가 아니라 가치 창출을 하는 활동을 말한다고 했다. 그렇다면 안철수 박사는 우리나라에서 기업가 정신이 쇠퇴한 이유를 무엇으로 꼽았을까? 그는 기업가 ..
대학생기자가 목격한 안철수연구소의 2010년 2010년 1월 6일 저녁 광화문의 한 식당으로 사람들이 속속 모이기 시작했다. 눈과 함께 추운 날씨에도 그들이 모인 이유는? 바로 안철수연구소의 신년 기자간담회가 있었기 때문이다. 60여 명의 기자들이 다 모이자, 김홍선 안철수연구소 대표의 2010년 사업전략 발표가 바로 시작됐다. 안철수연구소는 올해 2010년을 '향후 3~5년 동안 비약적인 도약과 성장의 발판을 마련하는 해'로 선언하고 '선택과 집중'을 경영 키워드로 공격적 경영을 펼칠 계획이라고 발표했다. 2009년에는 전사 조직 체제 재편, 기존 제품의 재설계, 관제 서비스 조직 안정화, 사업 발판 마련(온라인 게임 보안 솔루션 '핵쉴드', 네트워크 보안 어플라이언스), 브랜드 가치 극대화 등에 집중했다. 2010년에는 본격적으로 사업 역량 극..
안철수연구소, 엣지 있는 블로그 기자단 모집 1년 후에 한 뼘 더 자라 있는 자신을 발견하고 싶습니까? 도전할 기회가 많아서 아름다운 대학 시절, 펄떡이며 도약하는 한 기업을, 그리고 미래 성장 동력인 소프트웨어(SW) 산업을, IT의 중추인 정보보안 분야를 간접 경험할 수 있는 흔치 않은 기회가 있습니다. 대표적 소프트웨어 및 정보보안 기업인 안철수연구소가 블로그 대학생기자단을 모집합니다. 안철수연구소 블로그 기자로서 다양하고 폭넓은 경험을 해보시길 바랍니다. 안철수연구소를 통해 IT, 소프트웨어, 정보보안 산업에 대한 통찰력을 가질 수 있습니다. 국내 벤처 기업의 성장사, 기업 경영, 기업 문화, 사회공헌활동 등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아울러 연구개발(R&D)이 어떻게 제품화, 사업화하는지 과정을 이해할 수 있습니다. ‘영혼이 있는 기업’ 안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