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아래는 시사IN의 기사이며 기자의 허락을 받아 게재합니다.
‘안철수•박경철’이 뭉쳤다. 기회를 박탈당한 다음 세대에게 미안한 마음에서다. 그중에서도 더 소외된 지방의 청년들을 위한 ‘특별한 강연투어’에 나섰다. 부산 경성대 강연을 지상 중계한다.
“미안한 마음입니다.” 안철수 교수(48•카이스트 기술경영전문대학원)와 박경철 원장(46•안동신세계클리닉)은 청년 세대에게 깊은 부채의식을 갖고 있었다. 도움을 달라는 것도 아니다. 단지 ‘기회를 균등하게 달라’는 청년들의 말에 송구스럽고 죄스러운 마음이란다. 기성세대는 기회의 시대를 살았다. 태만하지만 않으면 성실한 만큼 대가를 얻었다. 하지만 다음 세대에게는 ‘노력하면 성취하는 세상이다’라고 말할 자신이 없다. 한술 더 떠, 세상이 달라졌는데도 기성세대의 성공 방식을 강요하는 현실이다.
이 둘의 의기투합은 그렇게 시작되었다. 촌음도 쪼개 쓰는 이들에게 돈보다 귀한 건 시간. ‘시간’을 기부하자! 그리고 서울보다 기회가 더 적은 지방 소재 대학을 중심으로 강연투어에 나섰다. “배려받는 느낌을 주고 싶었습니다. 기성세대 중에 누군가는 당신들의 미래를 진심으로 걱정하고 있다는.”(박경철) 그렇다면 그 진정성을 어떻게 전달할까? 우리 잘났다, 성공했다, 그러니 따라라? 그건 아니다. 두 사람이 평소에, 그리고 오랫동안 고민해온 문제들을 학생들에게 풀어내고 체험을 담아 설명하는 식이다. 또 한 가지. “좋은 질문의 역할이 좋은 답변보다 중요한 시대입니다.”(안철수) 그래서 강연은 대담 형식을 취했다. 박 원장이 묻고 안 교수가 답했다.
ⓒ시사IN 조남진
안철수 교수는 “자신의 실수를 용서하라.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가장 큰 선물이다”라고 말했다.
반응은 폭발적이었다. 지난 3월 광주 조선대 강연에는 5000명이 몰렸다. 4월 인천대학을 거쳐 이번에는 부산 경성대. 5월24일, 강연 시작 두 시간 전부터 학생들이 줄을 섰다. 600명을 수용하는 강당은 서 있을 자리도 없이 꽉 찼고, 많은 이들이 강연장 밖에서 스피커로 강연을 들었다. 이날 강연 주제는 ‘미래에 대한 도전과 바람직한 리더십’. 안철수 교수가 강연 서두에 말했다. “깨달아야 운명이 바뀝니다. 깨달으면 생각이 바뀌고 생각이 바뀌면 행동이 바뀝니다. 제가 가진 경험과 지식을 바탕으로 여러분에게 깨달음의 기회를 드릴 수 있기를 바랍니다.”
안철수•박경철의 지방 기살리기 프로젝트는 계속된다. 대도시를 다 돌고 나면 중소도시로, 그리고 더 소외된 곳으로 청년 세대에게 다가갈 예정이란다.
박경철(이하 박):요즘 들어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하는데 리더십이 뭔가요? 탈권위주의 시대에는 소수 엘리트의 사회적 리더십이 아니라 한 사람, 한 사람이 리더가 되는 자기 자신에 대한 리더십이 중요하다고 하는데요.
안철수(이하 안):리더와 대비되는 개념으로 관리자가 있습니다. 관리자나 리더나 목표를 향해 일을 성취하려고 노력한다는 점은 같지만 리더는 과정에서 구성원의 자발적인 참여를 끌어냅니다. 반면 관리자는 일이 중심이고 사람은 일을 위한 수단이죠. 리더는 중심에 사람이 있고 사람에 대한 믿음이 있습니다. 관리자는 앞에서 끄는 사람이라면 리더는 뒤에서 미는 사람입니다. 관리자는 자기가 답을 내지만 리더는 질문을 던져서 구성원이 답을 찾아내도록 합니다. 탈권위주의 시대에는 대중이 더 많은 정보를 가지고 있기 때문에 리더를 그냥 따라가지 않습니다. 구성원은 그를 관찰합니다. 과연 따라갈 값어치가 있을까? 리더십은 리더에게서 나오는 게 아니라 구성원에게서 나옵니다. 인정받는 리더에게 리더십은 선물로 부여되는 것입니다.
‘삶의 흔적’ 남기기
박:아이폰이라는 작은 기계가 세상에 충격을 주고 있습니다. 인터넷이 등장했을 때와 같이 혁명적인 사건일까요?
ⓒ시사IN 조남진
박경철 원장은 “다른 발상과 과정으로 자기를 연마한 사람이 그 시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다”라고 말했다.
안:지금은 수평적 사고와 융합의 시대인데요. 아이폰이 탈권위주의 시대의 실체화된 증거물이 아닌가 싶습니다. 사실 우리나라 대기업 임원들의 반응에 저는 좀 걱정이 되었는데요. 디자인이나 사용법을 편리하게 만들고 기능을 추가하면 아이폰을 따라잡을 수 있다고 생각하더군요. 아이폰은 단순히 단말기가 아니라 플랫폼입니다. 콘텐츠와 이익을 나누는 수평적인 네트워크 모델이지요. 하청업체에게 가장 저렴한 부품을 공급받는 수직적 모델이 아니라, 도와줄 수 있는 관계 회사를 누가 더 자기 편으로 끌어들이느냐 하는 일종의 연합군 간 경쟁입니다. 그러려면 상대방을 나와 동등한 관계로 인정해야 돼요. 균형 감각이 중요하죠. 일본의 여류 작가 시오노 나나미가 이런 말을 했어요. 균형 감각이란 양극단의 중간점이 아니라 오히려 극단을 오가면서 최적점을 찾으려고 노력하는 과정이라고. 답은 한쪽에 있지 않고 항상 움직인다는 겁니다. 이제 세상을 그런 눈으로 봐야 하지 않을까 싶어요.
박:기성세대는 집안•지역 따지고 왼쪽이나 오른쪽을 보았는데, 과거를 이해할 필요도 있습니다. 뒤처져 있던 때라 선두를 따라잡아야 하는 강박이 심했습니다. 선진국의 발자국만 쫓아가면 되는 시대였죠. 돌아보지 않고 신호 무시하고 앞에 넘어진 사람 짓밟고 넘어가며 살아왔어요. 그런데 지금은 우리가 선두 그룹에 속해 있습니다. 어디로 갈 것인가 고민하는 시기가 되어야 합니다.
안:고민은 중요합니다. 사실 저도 고민이 너무 지긋지긋해요. 빨리 고민 끝내고 열심히 앞으로 달려가 일만 했으면 좋겠다는 생각을 합니다. 얼마 전, 재일동포로서 한국 국적을 버리지 않고 최초로 도쿄 대학 교수가 된 강상중 교수의 책을 읽어보니 ‘고민은 축복이다’라는 말이 있더군요. 고민할 때는 힘들지만 신기하게도 답이 나옵니다. 무엇보다도 자기가 어떤 사람인지 알게 된다는 거죠. 고민 뒤에 선택의 순간이 오면 관념 속의 나와 진짜 내가 구분됩니다. 나는 나 자신이 모험심이 강하다고 생각했지만 선택과 행동은 안전한 쪽으로 간다면 후자가 진짜 나입니다. 생각과 말이 아니라 선택과 행동이 그 사람이지요.
박:우리 때는 출발점과 종착지가 같았지만 여러분의 시대에는 같으면 비극이고 ‘루저’(패배자)입니다. 실패한 경험도 미래를 위한 스펙 쌓기입니다. 눈앞이 아니라 저 멀리 미래의 종착점을 위해 결단코 실패를 두려워 마세요. 그렇다면 우리 시대 성공의 잣대는 무엇일까요?
안:현대인들은 가짜를 담고 삽니다. 자기 합리화 이유를 수백 가지 가질 수 있는 게 사람이죠. 미국 닉슨 대통령 시절에 이런 일이 있었어요. 미국과 중국의 국교가 단절된 상태에서 닉슨 대통령의 미•중 정상회담에 앞서 한 신문사에서 전문가 설문조사를 했는데, 회담 결과를 어떻게 예측하냐고 묻자 80%가 실패할 거라고 답했어요. 결과는 반대였죠. 정상회담 뒤에 다시 그 신문사에서 똑같은 질문으로 다시 물었어요. 당신이 회담 전에 뭐라고 답했는지 기억하냐고. 그랬더니 80%가 자기는 성공할 거라고 답했다는 반응을 보였어요. 사람들은 스스로 기억을 왜곡하는 버릇이 있습니다. 살아가기 힘들기 때문에 무의식중에 자기 기억을 바꾸는 거죠. 자기를 객관적으로 보는 게 참 힘들어요. 자기를 제대로 알면 원칙을 지킬 수 있고 과정의 일관성이 생깁니다. 제게 성공의 정의는 ‘삶의 흔적’을 남기는 거예요. 크로마뇽인이 동굴에 그린 그림을 보고 후세에 누군가가 그림을 남겼구나 하지 그걸 누가 그렸느냐에 의미를 두지 않잖아요. 저는 다른 흔적(make difference)을 남기고 싶어요. 내가 살았을 때와 없을 때의 차이가 나야 하잖아요. 나로 인해 누군가의 생각이 바뀌거나 내가 쓴 책이 있어서 영향력을 미치거나 해서 함께 사는 사람들에게 기여를 한다면 좋겠어요. 이름 남기는 것엔 관심이 없어요.
ⓒ시사IN 조남진
강연을 듣기 위해 줄지어선 학생들. 이들이 꼽는 안철수•박경철의 매력은 의외로 “촌스럽다”는 점이었다.
박:얼마 전에 소설가 조정래 선생을 만났는데 “우리가 보통 최선을 다했다는 말을 쉽게 하는데 자신의 노력이 스스로를 감동시킬 정도가 돼야 최선을 다했다고 말할 수 있다”라고 말씀하시더군요. 안 선생님은 스스로 성공했다고 생각하시나요.
안:진행 중이고 과정에 있습니다. 결과로 판단해야겠지요. 남의 단점이 자기의 단점보다 커 보이는 순간, 그 사람은 추락하게 됩니다. 제가 성공했다고는 꿈에도 생각 못합니다.
박:보통 그렇게 말하면 ‘재수없다’고 합니다(청중 웃음). 인재를 선출할 때 어떤 조건을 보고 뽑으십니까?
안:제가 안철수연구소에 있을 때 ‘기술’보다는 ‘재능’으로 사람을 뽑고자 했습니다. 물질적인 면보다는 정신적인 면, 결과보다는 과정, 현재보다는 발전 가능성을 중요하게 봤어요. 좋은 답보다는 좋은 질문을 하는 사람을 뽑으려고 했습니다. 마지막에 꼭 ‘회사에 대해 궁금한 게 뭐냐’고 물었는데 별것 아닌 것 같아도 제가 가장 중요하게 본 점이지요. 질문의 깊이를 보면 그 사람의 열정과 관심, 노력이 얼마나 되는지 다 드러나거든요. 인재는 문제를 잘 푸는 사람이 아니라 기존 문제풀이 방식에 의문을 품거나 질문을 하고 끊임없이 고민하는 사람입니다.
‘1만 시간’의 집중력
박:제 친구들이 지금 대기업 부장쯤 되는데 새벽에 토익 공부를 합니다. 900 이상이 안 되면 승진이 안 된다고.
안:사람의 운명을 결정하는 소양을 한 가지만 들라면 ‘집중력’을 꼽고 싶습니다. 제가 좋아하는 작가 중 말콤 그래드웰이 있는데 그의 책인 <아웃라이어>에 보면 어떤 분야든 그 분야의 전문가가 되려면 1만 시간을 투입해야 된다면서 ‘만 시간 법칙’을 얘기합니다. 매일 3시간씩 10년 하면 1만 시간이 되는데요. 억지로 못합니다. 재밌어야 돼요. 자기가 무엇에 흥미를 가지고 있는지 모르면 집중할 수도 없고 성공할 수도 없어요. 저에게 메일을 보내 답을 알려달라는 질문을 많이 하는데 남이 대신 결정해주는 경우 거의 100% 결과가 좋지 않습니다. 답을 찾는 건 자기 몫이에요.
박:학기마다 수업 듣는 학생들에게 ‘팁’을 주신다고 들었습니다.
안:제 수업을 듣는 학생이 50명 정도 되는데 한 학기 내내 저는 학생들과 얘기를 많이 합니다. 교과서 정리는 학생 몫이지요. 종강 때가 되면 한 사람, 한 사람 떠올리면서 어떤 조언이 도움이 될까 생각해서 선물로 주곤 하는데요. 공통된 몇 가지를 여러분에게 소개하겠습니다. 첫째, 항상 읽을 것을 가지고 다니라는 겁니다. 옛날 직장의 엘리베이터가 작아서 기다리는 시간이 5분, 10분 정도 되었는데 그 시간에 읽으려고 잡지를 늘 가지고 다녔어요. 한 달이 지나니까 굉장히 많은 잡지를 읽게 되더라고요. 둘째, 저는 항상 노트를 합니다. 잠을 자다가, 목욕을 하다가, 운전을 하다가도 떠오르는 아이디어가 있으면 메모지에 적습니다. 아이디어는 휘발성이 있기 때문에 그 순간을 담을 수 있는 보조기억장치가 바로 메모예요. 그렇게 적은 메모지를 가방에 넣고 다니다보니 10kg이 넘더군요. 제 고민의 무게인 셈입니다. 셋째, 급한 일보다 중요한 일을 먼저 하라는 것입니다. 지나보면 급한 일은 다 했는데 정작 중요한 일을 못한 인생이 될 수 있습니다. 넷째, 투자한 만큼 즐기는 법입니다. 화원에 예쁜 꽃이 많지만 자기가 물을 주고 정성을 들인 꽃이 더 예뻐 보이지요. 다섯째, 첫인상보다 마지막 인상이 중요합니다. 마지막 헤어질 때 모습이 그 사람의 본질에 가깝습니다. 마지막으로, 실수를 하더라도 자기를 용서하라는 겁니다. 실수는 당연합니다. 너무 실망하고 후회하지 마세요. 스스로에게 기회를 주는 것이 가장 큰 선물입니다.
박:여러분 가슴속에 불덩어리들이 있을 거예요. 그걸 토해내려고 좌충우돌 노력하는데, 쉽게 풀어내려 하지 말고 불덩어리를 누르고 눌러서 심장과 폐를 태울 만큼 응축시키세요. 순간 활활 타올라 확 토해낼 시기가 올 겁니다. 다른 발상과 과정으로 자기를 연마한 사람들이 그 시대의 주인공이 될 수 있습니다. 이 자리 청중 중에 한 명만 나와도 오늘 강연은 의미가 있었던 것이 아닌가 싶습니다. 내면의 불이 활활 타오를 수 있도록 노력하시기 바랍니다(청중 박수).
'안랩人side > 안철수 창업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신뢰의 리더 안철수의 책이 스테디셀러인 이유 (1) | 2010.07.13 |
---|---|
안철수 교수가 전하는 청소년을 위한 메시지 (15) | 2010.06.20 |
안철수가 말하는 힘든 시기에 할 일 3가지 (8) | 2010.05.21 |
안철수, 박경철이 조언하는 리더의 시간 관리법 (38) | 2010.04.20 |
안철수, 정직한 기업도 성공할 수 있음을 증명하다 (14) | 2010.03.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