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 서안에서 로마까지 이어지는 실크로드는 바닷길이 열리기 전까지 서역과 동방 세계를 잇는 유일한 통로였다. 12,000km에 달하는 실크로드는 서양과 동양, 두 세계의 상인들에게는 일확천금 기회의 길이자, 자신의 목숨을 담보로 하는 인생 최대의 모험과도 같은 길이었다. 비단을 향한 꿈의 길, 그리고 실크로드와 흥망을 함께한 도시 란저우와 둔황 그 역사 속으로 들어가보자.
실크로드의 길목, 서역에서 만나는 첫 도시 란저우
실크로드의 시발지인 시안을 출발해 서쪽으로 500km를 달려가면, 란저우에 도착한다. 란저우는 서역에서 만나는 첫 대도시이자, 신장위구르 자치구 그리고 티벳으로 들어가는 길목이다. 그렇기 때문에 지금까지 봐왔던 중국의 모습과는 확연히 다른 모습이 펼쳐지기 시작한다.
위치에서 알 수 있듯이 란저우의 역사가 곧 실크로드의 역사였다. 뿐만 아니라 세계 문명의 발상지 중 하나인 황하가 흐르기 때문에, 실크로드가 아니더라도 란저우의 중요성은 매우 크다. 란저우는 실크로드의 최고 전성기였던 당나라 때 황금기를 맞았고, 서양과 동양을 잇는 항로가 생김에 따라 그 역할은 점점 줄어들었다. 하지만 오늘날 란저우는 근처 유전을 바탕으로 중화학 도시로서 실크로드 시절의 위상을 되찾아가고 있다.
무사 귀환을 소망하는 마음, 막고굴을 탄생시키다.
사막을 건너기 직전 마지막 오아시스 도시인 둔황에는 막고굴이 있다. 사막을 건너는 대상들에게 소망이 있다면 무엇일까? 유네스코 문화유산으로 지정된 세계 최대의 불교 석굴군 막고굴을 갔다온 내 생각에는 무사히 집에 돌아고가자 하는 그 소망이 하나하나 모여 만들어 진 곳이 바로 막고굴이다.
1,000여 년에 걸쳐 만들어진 735개의 동굴은 현재 492개만이 남아있다. 492개의 동굴들이 다닥다닥 붙어있는 문은 마치 비둘기 집 같다. 그 옆의 높은 건물 안에는 딱 그 내부를 가득 채울 만한 크기의 불상이 있는데 그 위엄은 상상을 초월한다. 한 인간이라는 존재가 부처님의 발가락 높이에도 미치지 못 한다는 그 느낌이란...(아쉽게도 내부는 사진촬영이 엄격하게 금지되기 때문에 촬영할 수가 없었다.)
한편, 막고굴의 역사도 순탄하지만은 않았다. 철저한 상업 도시였던 둔황은 십자군 전쟁으로 인해 막혀버렸고, 그 이후 막고굴도 사람들의 머릿속에서 지워져버렸다. 하지만 1900년, 막고굴 16번 굴 안에서 숨겨진 17번 굴이 발굴되면서 전세계 도굴꾼, 문화재 사냥꾼이 모여들었고, 그 덕분에 막고굴은 다시 한번 세간의 주목을 받기 시작했다.
3,000년 동안 한 번도 마른 적 없는 오아시스
둔황에서 5km 떨어진 곳에 위치한 명사산은 언덕의 모래가 날리는 소리가 마치 사람이 흐느끼는 소리 같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게다가 명사산에는 전설이 하나 있다. 두 나라 군대가 명사산 아래에서 전투를 벌이다가 어디선가 불어 온 모래바람에 모두 파묻혀버렸다고 한다. 이런 저런 전설을 뒤로 하더라도, 사막은 그 존재만으로도 설레는 곳이다.
초승달 모양의 오아시스인 월아천은 해가 질 무렵 특히 더 예쁘다고 한다. 기회가 된다면 다시 가서 꼭 보고 싶다.
누구에게는 돌아가고 싶은 길이었고, 누구에게는 가고 싶은 길인 실크로드. 실크로드의 그 신비함은 함부로 갈 수 없기 때문에 생겨난 것이 아닐까? 수많은 사람이 꿈꾸고, 그 꿈을 가지고 떠난 수많은 이의 희생을 바탕으로 만들어진 실크로드. 앞으로 몇 십 년이 지나도 집으로 돌아가고 싶은 이들의 소망은 여전히 우리 곁에 실크로드라는 신비함으로 남아있지 않을까? Ahn
안철수연구소가 '세상에서 가장 안전한 이름'이라는 길을 향해 가고 있듯이,
저, 최시준은 '세상에서 가장 신뢰할 수 있는 이름'이라는 길을 향해 걸어갑니다. 지금 이 순간 여러분은 어떤 길을 향해 가고 있나요?
'문화산책 > 여행' 카테고리의 다른 글
광활한 중국 대륙의 끝, 신장위구르 자치구에 가다 (2) | 2011.03.27 |
---|---|
티벳 현지에서 실감한 티벳인의 놀라운 종교적 신념 (1) | 2011.03.20 |
북경 여행 필수 코스 자금성-만리장성-천단공원 (0) | 2011.02.23 |
교환학생으로 직접 맛본 북경오리, 자장면, 딤섬 (2) | 2011.02.16 |
압록강에서 북한 동포에게 '안녕하세요'를 외치다 (0) | 2011.02.12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