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현장속으로/세미나

안철수연구소 CEO가 말하는 '이것이 SW다'

20여 년 간 축적된 안철수연구소의 소프트웨어 개발 역량과 보안 기술을 공유하고 토론하는 자리! 국내 최고의 전문가에게 소프트웨어 개발과 보안 기술 노하우를 배울 수 있는 기회의 그곳, “안랩 코어 2011(AhnLab CORE 2011)" 컨퍼런스가 10월 25일 서울 양재동 엘타워에서 열렸다. 

안철수연구소가 국내 소프트웨어 기업 최초로 개최한 개발자 컨퍼런스
답게 김홍선 대표는 키노트 스피치에서 소프트웨어의 중요성을 강조했다. 특히 지금 이 시점에 소프트웨어를 어떻게 바라봐야 하는지 보자. 다음은 주요 내용.

소프트웨어는 더 이상 '수단'이 아니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은 급변하고 있다. 특히나 요즘 자칭 IT 강국인 한국이 소프트웨어 때문에 여러 가지로 괴로워하며 조급해하고 있다. 하지만 소프트웨어 하는 사람들은 잘 알겠지만 소프트웨어는 하루아침에 완성되지 않는다. 뿐만 아니라 소프트웨어는 그야말로 어떤 제품을 만들기 위한 수단이 아니라 사실상 IT 프로젝트의 중심이며 자산이다. 그런 인식의 변화가 일어나지 않은 점에서 아쉬운 것이 많다. 그런 아쉬움으로 이번 컨퍼런스를 통해 우리가 어떤 것을 해야 하며 어떤 시대에 살고 있는지 살펴보면서 다시 생각해 보도록 하자.

디지털 정보는 소멸되지 않는다

먼저 우리가 살고 있는 시대가 어떤 흐름을 타며 변하고 있는지 살펴보자. 잘 아는 이야기겠지만 사실 IT가 최근에 급변한 것은 15년 정도이다. 인터넷이 나오기 전에는 개인 스스로가 정보를 찾는 방법이 없었다. 기술자를 통해서만 정보를 알 수 있었다. 그런데 이제는 일반인도 쉽게 컴퓨터 안에 있는 인터넷을 통해 정보를 찾아낼 수 있게 되었다. 정보 자체가 중심인 시대로 바뀐 것이다. 어떻게 보면 간단한 변화로 볼 수 있지만 좀더 자세히 생각해 보면 실로 엄청난 변화다.

통신적인 측면에서도 과거에 PC통신의 인터넷이 브로드밴드로 확장되는 90년대 말부터 변화가 일었다. 가장 큰 특징은 컴퓨터를 켜고 끄는 것과 인터넷을 구분해야 한다는 것이다. TV를 켜듯이 PC도 전원을 켜면 바로 새 창이 나온다. TV를 켜면 바로 나오는 세상이 되었고 PC의 인터넷도 자연스러운 현상이 됐다. 우리가 쓰고 있는 컴퓨터는 내가 밥 먹으러 가는 순간에도 연결되는 형태인 것이다.

우리가 디지털을 많이 언급하지만, 결국 이와 같은 특성으로 디지털 시대를 만났다고 할 수 있다. 한 마디로 대단한 세상을 만든 것이다. 그것은 바로 모든 정보가 검색되며 소멸되지 않고 더욱 진화해서 스마트해지는 것이다. 그런 시대가 왔다. 이제는 몇 십 년, 몇 백 년 동안 축적되어 있던 과거 정보도 금방 날아오는 시대가 됐다. 과거에는 불가능했던 검색과 추적이 지금은 모두 가능하다.
스마트 기기가 개인에게 막강한 힘을 주었다 

최근의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자. 정보망에 접근하는 기기를 보통 3가지로 분류한다. PC, 휴대폰, TV. 이 세 가지 기기의 수는 이미 전 세계 인구수를 앞서기 시작했다. 하루에 544만 개의 기기가 팔리고 있다. 또한 1년에 20억 개의 새로운 기기가 판매된다. 이것은 계속 늘어날 추세이다. 기기 수가 많아졌다는 것은 그만큼 정보에 접근하는 사람들이 늘어났다는 것이다. 더 나아가서 네트워크를 통해서 접근하는 모바일이 곧 앞설 것임을 보여준다. 즉, 이제는 정보가 전산실의 한정된 공간이 아니라 우리 사회 속으로, 생활 속으로 넘어갔다는 것이다.
 
이런 패러다임의 변화를 보면서 90년대 변화의 축이 이동통신이었다면 2000년대 변화의 축은 인터넷이라고 말할 수 있다. 그리고 2010년의 화두는 스마트폰만이 아니라, 태블릿 등의 기기들이 스마트해졌다는 점이고, 소셜 네트워크로 인해 인간 친화적인 소통을 할 수 있는 공간들이 확대되고 깊이가 달라졌다는 것이다.

많은 기기를 가진 사람이 자신의 데이터를 조종하는 시대가 아니라 한 곳에 몰리는 클라우드 시대가 되었다. 이미 많은 내용이 디지털화했다. 우리는 가치- 편리하고 효율성 있으며 동시에 안전한 것-를 만들어 내야 한다. 이것이 바로 소프트웨어를 하는 사람들이 지금 안고 있는 과제, 또 해야 할 숙제라고 볼 수 있겠다.

한 마디로 지금은 많은 사람들이 막강한 기기와 정보력을 가지고 있는 시대이다. 주축이 이제는 어떤 기업이나 기관에 DB화한 정보가 아니라 각 개인이 어떠한 정보력을 가지고 있느냐다. 트위터로 누구든지 정보를 확산시킬 수 있고 소통할 수 있는 시대가 됐다. 모바일 기업으로 인해 기술과 인문학의 결합이 사회 속으로 들어왔다. IT가 삶 속에, 모든 제품 속에 들어왔기 때문에 이와 같은 컨버전스가 일어난 것이다. 그것은 우리 역사상 아마 가장 큰 변화 중의 하나가 아닐까 생각한다.

사람들이 즐거워하는 것을 만들어내는 것이 소프트웨어다

우리가 사는 시대를 보면 생동감이 넘친다. 스마트워크가 도입되면 결국 우리가 그동안 생각했던 집과 직장의 개념이 무너진다. 대형화와 융합의 시대에 우리가 IT를 처음 도입한 것은 기업의 생산성이나 업무 효율성을 향상하기 위해서이다. 지금은 소프트웨어 콘텐츠가 더 많은 사람들한테 갈 수 있도록 IT 자본의 포커스를 바꿔야 한다. 과거의 폐쇄적인 전산 시스템이 아니라 좀더 유비쿼터스하게, 역동적이고 융합적인 것이 필요하다.

그리고 실시간으로 얼마큼 유통시킬 수 있고 소통될 수가 있느냐가 굉장히 큰 과제이다. 이것이 전부 다 소프트웨어이기 때문이다. 이제는 투명하고 가시성이 있으며 신뢰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것이 중요하다.

소프트웨어는 기술적인 면보다는 사람들이 원하는 것이 무엇이고 어떤 것을 하면 사람들이 즐거워하는지 고민하는 것부터 시작된다. 이것이 전자공학, 재료공학 같은 다른 기술과는 다른, 소프트웨어만의 특성이다. 그렇기에 사실 소프트웨어를 만드는 과정은 고통스럽지 않다. 자신이 원하는 것을 만들어 내고, 자신이 쓰기 좋으면 다른 사람들도 쓰기 좋다는 생각을 한 스티브 잡스를 생각하면 된다. 
 

'하드웨어 다음 소프트웨어'는 넌센스다

이번에 안철수연구소가 이사 간 판교 사옥의 건설을 지켜보면 먼저 건설 시공을 하고 그 다음에 인테리어 업체가 들어와서 7~8개월 동안 같이 일한다. 늘 한 쪽은 하드웨어이고 다른 한 쪽은 소프트웨어이다. 그 과정에서 충돌이 일어나지만 이 컨셉을 느끼기 위해 사실 2년 전부터 같이 넣었음에도 불구하고 그것을 이뤄가는 과정이 쉬운 것은 아니었다.

하지만 건설은 2년을 짓는다. 2년을 짓는 공사이기 때문에 사실상 건설 초반, 1년 동안은 땅만 판다. 건물이 올라갈 때부터는 같이 들어간다. 심지어 건설도 그렇게 한다. IT처럼 사용자의 경험이 중요한 프로젝트에서도 하드웨어가 다 끝나고 나서 유저가 마지막에 들어가는 것은 정말 후진적이라 볼 수밖에 없다.

다양한 소프트웨어의 역량 속에서 자신이 배우고 싶은 것이 무엇인가? 이 질문의 답이 소프트웨어의 목표이자 사업의 목표가 된다. 구글이나 애플은 자신들의 세계를 다른 모든 업종들 속에서 명확히 자리잡았다. 자신이 어떤 사업을 할 것인지 소프트웨어에 대해 입장을 정리한 것이다. 각 사회에 스며들어간 아이폰이 IT가 아닌 분야에도 영향을 주고 있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는 소통이다 

우리나라에서 소프트웨어 개발은 20대, 30대만 하는 것으로 생각한다. 그것은 절대 아니다. 미국에서는 60대도 소프트웨어를 개발한다. 그 이유는 세상을 표현하는 방법을 연구하는 소프트웨어에 어떻게 들어갈 수 있는지 고민하기 때문이다. 즉, 그런 경험이 많을수록 결과는 더욱 좋아진다.

또한, 소프트웨어 개발자들 사이에서 영향을 미치는 멘토가 중요하기 때문이다. 소프트웨어 개발자 대부분은 학교에서 제대로 소프트웨어를 못 했다 하더라도 걱정이 없었다. 네트워크를 통해 멘토를 만나 빨리 성장할 수 있었기 때문이다. 이렇게 멘토들이 이끌어주고 코드를 이야기해주는 문화를 가지는 것이 굉장히 중요하다.


소프트웨어는 협력과 소통이 필요하다. 이것이 가장 중요하며 이번 컨퍼런스를 개최한 이유이기도 하다. 아무쪼록 소프트웨어가 모든 사업의 중심이 될 수 있도록 다시 노력하고 격려하는 계기가 됐으면 한다. Ahn

대학생기자 류하은 / 강남대 경영학과  
거거거중지(去去去中知),  행행행리각(行行行裏覺)
가고 가고 가는 중에 알게 되고, 행하고 행하고 또 행하면서 깨닫게 된다.
- 노자의  <도덕경> -
제 글이 조금이나마 당신이 가는 그 길에 빛이 되었으면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