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BS 인터넷 차정인 기자의 뉴스풀이 100회 특집 "시대의 지성에게 듣는다"(3)
세 번에 걸쳐 방송된 안철수 교수와 박경철 원장의 대담 마지막 순서에서는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사회적 의미와 한국의 미래, 그리고 뉴스를 보는 관점을 이야기했다. 특히 현재 두 사람의 꿈은 무엇인지, 그리고 좋아하는 노래는 무엇인지 등 인간적인 모습도 볼 수 있다.
인터넷 뉴스를 볼 때 자신이 편집자라 생각하고 읽는다는 안철수 교수의 말이 인상적이었다. 종이 신문은 레이아웃이 있어 어떤 기사가 중요한지 한눈에 보이지만, 인터넷 신문은 그렇지 않다는 것. 포털 메인에 뜨는 흥미 위주의 뉴스만 보는 내 모습이 부끄러웠다. 평소에 두 분의 강연회를 듣고 싶지만 시간과 장소가 맞지 않아 놓쳤던 이들에게 꼭 추천하고 싶다. 다음은 10월 15일 업로드된 3부의 요약 전문.
차정인 기자(이하 차):
박경철 원장(이하 박): 사회적 관점에서 보자면 하나의 숙제 같다. 언론사 뉴스의 댓글을 보면 참담하다. 본인 인증을 거친 실명 아이디인데도 막말을 써놓는 경우가 많다. 트위터, 페이스북은 이메일로 익명 가입이 가능한데, 같은 경우라면 트위터, 페이스북에는 지옥불 같은 언어가 비일비재하고 끔찍한 참사의 현장이 비쳐져야 하는데 뛰어난 자정 기능을 갖고 있다. 사실 우리는 그걸 통제하고 감시하고 처벌해야 관리가 가능하다는 걸 머릿속에 갖고 있지만 통제, 감시, 처벌이 오히려 부작용을 유발한다고 사회적 맥락으로 읽을 수 있을 것 같다. 트위터 같은 경우 이웃을 늘리기 위해선 선량한 행동을 보여야 한다. 불량한 행동을 하면 어떤 이웃도 내 말을 들어주지 않는다. 오프라인 만남에서도 마찬가지인데, 이러한 온라인 행동방식이 현실에 작동하는 것과는 다를까 하는 점이 사회적 숙제들을 많이 던져주고 있다.
안철수 교수(이하 안): 예전에 인터넷의 강자를 뽑으라 하면 누구나 당연히 구글을 뽑았을 것이다. 근데 어느 순간부터 구글보다 페이스북 사용자 시간이 증가하였다. 구글은 검색 시간이 불과 몇 초이고 페이스북은 계속 머물면서 놀기 때문에 전체적으로 보면 사용 시간이 많다고 생각되는데, 사용자 수 자체도 페이스북이 엄청난 성장세를 보이고 있다. 그래서 소셜 네트워크의 힘을 실감하게 되는데 사실 소셜 네트워크 쪽에선 우리나라가 많이 뒤쳐지는 편이다. 그 이유는 새로운 시도가 자꾸 차단되는 사회구조적인 문제로 볼 수밖에 없다고 생각한다. 이것을 푸는 일이 좀 시급하다고 생각한다.
차: 지금까지 단점만 얘기하신 거 같다.
차
박: 이제 양적 고민에서 질적 고민으로 옮겨가야 할 거 같다. 과거에 2만불 성장을 위해 달려가던 그 상황에서는 어쩔 수 없었다고 했지만 이제는 계속 그렇게 말할 수 없다. 과거에는 어쩔 수 없었지만 지금부터는 .. 이라고 말해야 할 거 같다. 모 재벌 그룹 회장님이 '만 명을 먹여살리는 한 명의 인재'라는 말씀을 하셨다. 만 명이 먹어야 할 것을 한 명이 먹었다는 측면을 반성하고 독점이 아닌 공존으로 갈 수 있는 기틀을 마련할 수 있어야 우리가 분열의 시간을 극복할 수 있을 거 같다. 이젠 분열을 만들지 말고 손을 내밀고 가는 모습들을 고민해야 하는 시간이 오지 않았나 싶다.
안: 제가 존경하는 경영자 중 한 분이 '한국인이 좋은 특성들을 많이 가지고 있다'라고 하셨다. 일본인의 근면성, 독일인의 정교함, 프랑스인의 예술적인 기질을 가지고 있는 유일한 민족이라고. 한국의 미래가 기대할 만하다면서 투자를 적극적으로 한다. 전적으로 공감한다. 그렇게 다재다능한 사람들의 공감대를 형성하고, 어떤 문제에 대해 문제 인식을 공유하고, 나와 있는 문제를 하나하나 해결해 나가는 게 중요한 거 같다. 어떻게 흩어진 힘들을 결집할까가 우리 앞에 놓인 가장 큰 숙제라고 생각한다.
차: 그런 일에 대하여 실천하실 의향은 없나?
안: CEO를 그만둘 때 이런 생각을 했다. '내가 경영하는 회사는 잘되고 있지만 주위에 힘들어하는 기업이 많다. 어떻게 하면 내가 가진 지식으로 산업 전반에 성공 확률을 높이는 데 조금이라도 기여할 수 있을까.' 그리고 또 안일주의로 가는 젊은이들에게 도전정신을 설명해주고, 정말 각박한 상황 속에서도 뒤를 한번 돌아보라, 개인도 좋지만 나에게 기회를 준 사회도 한 번씩은 돌아보라는 말을 해주고 싶었다. 그게 CEO를 사임한 목적 중 하나다. 살다보면 일이 잘못될 수도 있고 다른 사람 탓을 하거나 시스템 탓을 할 수도 있는데 그렇게 남 탓을 해봤자 잘못된 것은 바뀌지 않는다. 나 같은 경우엔 내 힘으로 열심히 할 수 있는 한 해보려고 대학에 온 거다.
차: 두 분의 공통점 중에 창의성이 있는데, 주로 아이디어는 어디서 얻나? 주로 책을 많이 이야기하는데 즐겨 보는 뉴스는?
안: IT 뉴스에서 아이디어를 많이 얻는 편이다. 우리에게 사업 아이템 같은 기회는 많다고 생각하는 게 나오지 않은 영역이 굉장히 많다. 예를 들어 독창적인 아이디어가 없다 하더라도 정보를 꾸준히 섭렵하다보면 그 중에서 어떤 특정한 아이디어를 한국형으로 접목해서 또 다른 새로운 걸 만들 수도 있다. 어떤 새로운 걸 만든다는 게 세상에 없던 것을 만든 게 아니라 기존 것에 조금 다른 특성을 붙여서 개선해서 만드는 게 90%이지, 정말 새로운 것은 1%도 안 된다고 생각한다. 개선된 아이디어도 기존 아이디어에서 많이 얻게 된다.
박: 내가 뉴스 편집자라고 생각하는 게 가장 큰 오류라고 생각한다. 사람들은 예단을 강화하기 위한 수단으로 뉴스를 보는 경우가 있다. 자기 말이 옳다는 예단을 확인하고 강조하기 위한 수단으로 보는데 나는 주로 예단을 부정하는 뉴스를 찾아본다.
안: 강의할 때 조금 복잡한 산수 문제를 던져주고 답을 물어보면 처음엔 여러 계산 방식 때문에 의견이 다른 사람들이 나뉜다. 답이 다르게 나온 사람들끼리 그룹을 지어서 자리 배치를 해주고 그 다음 시간을 더 줘서 한번 더 확인해보라고 하면 대부분의 사람들이 같은 그룹 내에서 정답 확인을 한다. 사실 더 정확하게 알려면 상대 그룹과 토론하는 과정에서 오류를 발견해야 하는데, 그러지 않고 일반적인 사람의 속성은 본인이 맞다는 증거를 찾으려는 심리가 작용해서 결국 오류에 빠지고 실수를 발견하지 못한다. 그런 행동에서 벗어나야 한다는 부분이 박원장이 말한 것과 같은 맥락인 거 같다.
차: 두 분의 현재 꿈은 무엇인가?
박: 이런 질문을 들으면 사변적인 대답을 한다. 좌충우돌하다 여기까지 온 거라 어떻게 될지 잘은 모르겠지만 앞으로도 쓸모 있었으면 좋다. (웃음) 남에게 필요한 존재가 되고 싶은데, 의사로서는 쓸모 있는 취급을 잘 안 해주는 거 같다. 가령 '당신이 없으면 이 환자 큰일 난다.' 이런 의사로서의 존재감? 쓸모있는 사람이 되는 게 최종 목표이다.
안: 간단하게 말씀드리면 죽을 때 내 인생에 대해 후회하지 않고 죽었으면 좋겠다. 그리고 그런 과정에서 '내 인생에서 어떻게 후회하지 않는 삶을 살 수 있을까' 또 다시 물어보게 되는데 내가 찾은 답은 삶의 흔적을 남기고 싶다는 거다. 크로마뇽인이 동굴 벽화를 그렸는데 후세에 우리가 그걸 보면서 누군지는 몰라도 어떤 사람이 살았구나를 알 수 있다. 마찬가지로 지금 내가 살고 있지만 결국 죽을 테고, 나라는 존재가 원래 없었을 수도 있지만 그 둘 사이에 차이가 있었으면 좋겠다. 내가 살아있을 동안에 어떤 사람들에게 좋은 영향을 미쳤다든지 어떤 좋은 제도를 만들었다든지 조직을 통해서 함께 살아가는 사회를 풍요롭게 만들었다든지. 한 사람이 살았다 죽고 나면 그것이 다 그 사람이 살았다는 증거이자 흔적인데, 그게 나한테는 가장 가치있는 삶인 거 같다. 그 생각이 정리되고 나니, 사람들이 보기에 과감한 선택들 - 의대 교수 관두고 중소기업 사장을 하는 선택, 또는 굉장히 잘나가고 있고 안정된 CEO 자리에서 스스로 물러나 다시 학생으로 돌아가는 선택이라든지 또는 다시 공부 마치고 돌아와서 대학 교수를 한다는 직업의 선택 - 이 다 의외의 선택의 연속일 수도 있지만 저 나름대로 삶의 흔적을 남기기 위해 정말로 당연하고 무리가 없었던 선택의 연속이었던 거 같다.
차: 좋아하는 노래는?
안: 밝은 노래가 좋다. 여러 가지가 있지만 뮤지컬 '헤어 스프레이'에 나오는 '굿모닝 볼티모어'라는 노래를 좋아한다. 아침에 들으면 힘을 얻기도 하고, 지금은 대학 공부하러 멀리 떠나 있는 딸과 함께 본 거라 노래하는 인물이 딸 모습과 겹쳐서 마음이 짠하기도 하다.
박: 돌아가신 아버지와의 추억이 담긴 '하숙생'을 힘들 때마다 듣는다. 아버지가 그 노래를 부르다 돌아가셨다. 운전하다 들으면 눈물이 나기도 한다. Ahn
‘멘토’에게 듣는다! - 안철수 · 박경철
안철수 · 박경철 “공직 생각 없다”
안철수 · 박경철 “이제 남은 꿈은…”
'안랩人side > 안철수 창업자' 카테고리의 다른 글
아이패드와 킨들이 라이벌이 아닌 이유 (1) | 2010.11.10 |
---|---|
안철수가 말하는 개발자가 미래를 위해 준비해야 할 것 (6) | 2010.11.09 |
안철수 "관리자는 답을 주지만 리더는 질문을 한다" (2) | 2010.10.24 |
안철수와 박경철이 말하는 '정의란 무엇인가' (4) | 2010.10.17 |
안철수가 말하는 21세기 프로페셔널의 조건 (1) | 2010.10.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