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보안세상

(1165)
소셜 커머스 CEO가 말하는 청년 창업 성공 비결 지난 5월 10일 오픈한 티켓몬스터. 매일매일 레스토랑, 카페, 바, 스파, 뷰티, 공연, 여행 등 각종 서비스 중 하나의 상품을 50% 이상 할인 가능한 티켓을 판매하는 회사이다. 국내에 소셜 커머스라는 새로운 비지니스 모델의 돌풍을 만들어내면서 5개월도 채 안 되는 기간에 급성장해서 많은 주목을 받는다. 티켓몬스터가 주목받는 또 하나의 이유는 창립 멤버 5명 중 CEO를 비롯한 3명은 미국 아이비리그 명문인 University of Pennsylvania(이하 유펜) 출신이고 나머지 2명은 KAIST 출신이기 때문이다. 특히 티켓몬스터의 CEO인 신현성 대표는 유펜 와튼 경영스쿨을 졸업하고 손꼽히는 컨설팅 회사인 맥킨지&컴퍼니에서 2년 가까이 근무하였다. 그가 올해 1월 갑자기 한국으로 날아와 창업을..
600명이 지켜가는 안철수스러움의 실체는? 지난 2008년 V3 출시 20주년을 맞아 출간된 경영에세이 가 개정판을 통해 올해 새로운 모습으로 돌아왔다. 특히 이번 개정판에서는 글로벌 기업으로 도약하는 안철수연구소(이하 안랩)의 모습과 2009년 7월 DDoS 대란 당시의 긴박한 상황이 생생하게 묘사되었다. 안랩 대학생기자로 활동하다 보면 재미있는 상황을 겪게 된다. Ahn 로고가 새겨진 명함이나 수첩을 꺼낼 때마다 부러움 반, 놀라움 반 섞인 시선을 받는 것이다. “너 원래 바이러스 같은 데 관심이 많았니?” 혹은 “안철수 만난 적 있어?”라는 물음도 자연히 따라온다. 이처럼 일반인에게 안랩은 “어렵고 복잡한 일을 하지만, 그래도 뭔가 좋은 일을 하는 회사”라는 이미지가 강하다. '안철수'연구소? 안철수'연구소'! ▲ 안철수 교수가 직접 패키지..
패션모델, 축구선수가 평범한 샐러리맨 된 사연 의외성. 찔러도 피 한 방울 안 날 것 같은 차가운 인상인데 알고 보니 매우 다정다감한 사람일 때, 둔해 보이는 사람이 매우 날카로운 식견을 드러낼 때, 완벽한 미모의 여배우가 매우 소탈한 성격일 때 그 의외성은 그 사람을 더 매력적으로 보이게 한다. 여러 사람이 모인 기업에도 의외성을 가진, 알고 보면 독특한 경험과 개성을 지닌 사람이 가득하다. 600여 명이 모인 안철수연구소에도 눈길을 사로잡을 만큼 색다른 경력을 가진 이가 많다. 성장해 IT 업계에서 일하리라고는 상상하기 힘들었을 어린 시절을 보낸 안랩인 2인을 만났다. 중학교 때 축구 선수로 활약한 정하권 주임과 초등학교 시절 패션 모델로 활동한 한규철 차장이 그들. 중학교 축구 선수 출신 정하권 주임 많고 많은 안랩인 중에서도 축구 사랑이 유독..
디자인 전공자가 사진에 담은 국제디자인공모전 Design for ALL future technology and daily living 서울시가 야심차게 준비한 '디자인한마당' 행사는 해마다 그 규모와 질 면에서 발전하며 시민들에게 새로운 디자인 트렌드를 제시하고 새로운 디자인 문화의 지평을 열고 있다. 시민과 기업, 해외 디자이너의 자발적인 참여로 성장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가 크다. 특히 올해는 지난해보다 부대 행사의 수를 줄이고 디자이너들이 보다 많은 작품을 선보일 수 있도록 하는 등 프로그램의 질을 높여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또한 보여주는 전시장 넘어 즐기는 휴식공간으로 전시를 기획해 사람들이 찾아와 편안하게 쉬고 체험하고 담소를 나누는 도심 속 휴식 공간으로 발돋움했다는 점도 주목할 만하다. 아울러 참가한 기업과 학생의 참신한 디자인의 제..
사업 기회 잡으려면 놓치지 말아야 할 패러다임 얼마 전 '소통'이란 주제로 열린 안철수연구소의 전사원 교육 '안랩 스쿨'에서 김홍선 CEO는 최신 IT 트렌드와 패러다임 변화를 짚어보고, 그에 대응하기 위해 무엇이 필요한지 전사원과 소통했다. 다음은 요약문, ------------------------------------------- 현재 글로벌 IT 시장은 그 어느 때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글로벌 대기업들의 포트폴리오가 확대되며 플랫폼 중심으로 시장이 재편되고 있다. 하드웨어, 소프트웨어, 서비스, 컨텐츠 등으로 이어지던 사업 영역이 무너지면서 새로운 개념의 접근이 필요하게 되었다. 이와 관련해 스마트폰의 등장으로 통신사, 콘텐츠, 단말기, 운영 SW로 구분되던 과거와 달리 지금은 제조와 서비스의 결합을 통해 제품의 상품(commo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