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안철수연구소

(1295)
안철수연구소 역사관에 내 이름 올리려면 안철수연구소가 V3 탄생 23주년을 맞아 오는 10월 판교 사옥 이전에 앞서 ‘안랩 역사 발굴 프로젝트’를 추진합니다. 이는 8월 31일까지 판교 사옥에 보존할 역사 자료를 수집하는 사용자 참여 이벤트입니다. 이 프로젝트는 안철수연구소가 1995년 조그만 벤처로 시작해 세계적인 정보보안 기업으로 성장해 처음 자사 사옥을 마련하기까지 국민과 함께 해온 역사라는 점에서 첫 사옥에 역사적 기념관을 개설하고자 기획한 것입니다. V3 탄생 이후 23년, 회사 설립 후 16년 동안 한결같이 신뢰와 격려를 보내준 사용자들이 보유한 물품을 기증 받아 새로운 도약의 역사를 함께 만들어가겠다는 취지입니다. 아래 내용 참고하셔서 많이 참여해주시길 바랍니다. (이미지를 클릭하면 확대해서 보실 수 있습니다.)
그날 나의 V3 다시 보게 되었습니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은 언제나 슛 동작에서 침착했다. 비록 공이 림을 외면할 때도 있었지만 그것을 던질 때만큼은 자신감을 가졌고 이는 고도의 집중력을 가져다주었다. 1988년 5월 어느 날, 의대 박사 과정을 밟던 안철수 교수는 BRAIN이라는 세계 최초의 바이러스를 만난다. 바이러스가 뭔지도 모르던 시절, 안 교수는 새롭게 생겨나는 바이러스 앞에서 언제나 침착했고, 새로운 변종과 벌이는 끊임없는 싸움일지라도 국가와 국민을 위해 꼭 필요한 일이라 생각하였다. 이에 바이러스를 연구할 때만큼은 누구보다도 강한 자신감을 가졌으며 마찬가지로 이는 고도의 집중력을 가져다주었다. 여기서 잠시 다소 억지스럽게 평행이론을 들이대볼까 한다. 농구 황제 마이클 조던의 등 번호는 23번, 안철수 교수가 만든 V3라는 백신..
스마트폰 쓸 땐 트위터 단축 URL도 조심! '경영대 퀸카가 카카오톡 하냐고 물었다. 나는 먹는 건 줄 알았다.' 유명 모 통신사의 광고 카피로 며칠 전 지하철에서 신문을 보다가 '풋'하고 웃음이 나오게 한 글이었다. 카카오톡은 스마트폰 유저들이 이용하는 서비스로 스마트폰을 사용하지 않으면 모를 수도 있다. 작년 초에만 해도 스마트폰 유저가 많지 않았는데, 저런 광고 카피가 나오고 사람들의 공감을 이끌어내는 것을 보면 짧은 시간 안에 엄청난 변화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빠르게 도래하는 스마트 사회의 특징과 문제점, 그리고 그 문제에 대한 솔루션을 논의하는 컨퍼런스 이 5월 24일에 열렸다. 발표에 나선 전문가들은 지금까지의 사회가 정보 사회였다면 가까운 미래에는 스마트 사회가 도래할 것이라고 입을 모았다. 지식과 정보가 정보 사회를 대표하는 두 ..
안철수가 말한 기업가에 대한 잘못된 통념들 서울대 융합과학기술대학원장인 안철수 교수가 아직 카이스트에 재직 중이던 4월 26일 포스텍(포항공대)에서 '기업가 정신이란 무엇인가?'를 주제로 강연을 했다. 당일에는 비가 왔지만, 강연장인 포스코 국제관은 강연 시작 20분 전부터 북적이기 시작했다. 결국 바닥에 앉아 강연을 듣는 사람들도 상당수였다. 안철수 교수의 인기가 어느 정도인지 실감할 수 있는 자리였다. 보통 교내에서 외부 인사가 강연할 때, 외부인이 캠퍼스에까지 와서 강연을 듣는 경우가 많지 않다. 하지만 이 날은 외부인으로 보이는 사람도 꽤 보였다. 맨 앞줄부터 서서라도 강연을 보고자 하는 사람들이 나타나기 시작했다. 사람이 점차 늘어나 가장자리에 서 있는 사람들이 나타났고, 좌석 사이의 계단은 사람들에 가려 모습을 감추기 시작했다. 결국 ..
김태원의 세종대 강연 “스토리를 가져라” 가수 김태원이 '위대한 탄생'으로 바람직한 멘토로 부상했다. 대학생 사이에서는 오래 전부터 동명이인의 롤 모델이 존재했다. '죽은 열정에게 보내는 젊은 구글러의 편지', '생각을 선물하는 남자'의 저자인 '구글러 김태원'이 바로 그. 얼마 전 세종대에서 한 그의 강연을 들었다. 강의 주제는 ‘대학 생활의 두근거리는 즐거움’. 취업의 틀 안에서 학교 생활을 하는 요즘 대학생에게 그가 전하고자 하는 것이 무엇인지 들어보자. 구글러가 던진 질문 세 가지 그는 청중에게 세 가지 질문을 던졌다. 우리에겐 대학 생활을 바라보는 기준 및 관점이 있을 것이다. 자세히 살펴보면 각자의 기준과 관점은 매우 유사하다. 분명 처지는 서로 다를 텐데 말이다. 그런 우리에게 김태원씨는 다른 관점으로 대학 생활을 바라보자고 제안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