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여행

서울을 색다르게 즐기는 도심 속 전통시장 탐방

높은 빌딩숲이 회색빛으로 우거진 서울 한복판에서, 작고 허름하고 낡은 것을 찾아보기란 어려운 일이다. 백화점이나 쇼핑몰에서, 혹은 마우스 클릭 몇 번으로 간편하고 효율적으로 물건을 구매하는 것도 좋다. 그러나 때때론 옛날, 옛것, 전통같은 낡은 방식이 주는 정이 그리울 때가 있다. 그리하여 사람 냄새가 물씬 풍기는 우리의 전통시장을 소개하려 한다. 높아져만 가는 물가, 경기 침체 등으로 인해 가벼워진 주머니가 고민이라면, 걱정할 필요없다.

안랩 대학생 기자단이 소개하는 옛날 방식의 전통 시장은 상인들의 푸근한 정만큼 가격도 따뜻하다. 서울 풍물시장에선 티셔츠가 두 장에 3000, 수입 초콜릿은 세 개에 천원, 귀여운 토끼, 곰돌이 인형은 한 개에 500원에서부터 시작한다. 시장을 둘러보다가 배가 고프다면, 한 장에 1500원짜리 커다란 부침개에 반병 1000원인 막걸리를 곁들여 허기를 달랠 수 있다.

백화점이나 인터넷에서는 구할 수 없는, 이미 단종된 전자상품이며 부엌용품 등 없는 것 빼곤 없는 게 없는, 저렴한 물건들이 한 가득이다. 뿐만 아니다. 도매가로 풍성한 식탁을 만들 수도 있다. 도매가로 질 좋고 저렴한 우리 농산물, 축산물 등의 먹거리를 구할 수 있는 경동시장과 마장시장을 시작으로, 온갖 건강해지는 냄새가 옹기종기 모여 있는 약령시장까지. 지금부터 우리의 전통 시장 탐험을 떠나보자.

도심 속에서 살아 숨 쉬는 추억들, ‘동묘 앞 벼룩시장

값싼 신발과 빈티지한 옷부터 옛날 화폐와 우표, 헌책과 오래된 레코드판, 80-90년대 카세트 등 오래될수록 가치를 더하는 골동품들이 가득한 도심 속 재래시장, 동묘 앞 벼룩시장 에 다녀왔다. 서울 지하철 1호선과 6호선의 환승역인 동묘 앞역에서 3번 출구로 나오면 곧바로 벼룩시장의 모습을 볼 수 있다. 이곳에서 우리는 지금은 보기 힘든 옛 추억의 물건들을 만날 수 있었다 

가지각색의 청바지들 청색부터 검정에 가까운 청색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디자인의 청바지들이 가득하다.

 

 중고 옷들과 신발 구두와 운동화, 가죽신발을 비롯하여 형형색색의 티셔츠와 남방, 하의 등 다양한 옷가지들이 진열되어 있다. 잘 보다보면 제법 괜찮은 옷들이 꽤나 있다.

이 곳에는 지금은 보기 힘든 수많은 골동품들이 좌판위에 어지럽게 널려져 있다. 5000원이란 가격표 아래 가득 쌓여있는 신발들과 3천원 내외의 티셔츠와 같은 패션 아이템부터 희귀한 옛날 필름카메라와 여러 크기의 타자기들, 1900년대 때 쓰였던 텔레비전과 레코드 판 플레이어와 같은 기기들까지. 별의별 물건들이 가득 쌓여있는 좌판들을 지나다보면 절로 눈길이 사로잡힌다. 시장 골목으로 들어가면 길바닥에 재미있는 물건들이 널려있다. 크기가 다양한 수정구슬이나 아주 오래된 책들, 특이한 디자인의 목걸이와 팔찌와 같은 장식품 등의 신기한 물건들을 구경하다보면 시간가는 줄 모른다. 발품을 팔면 팔수록 시장 곳곳에 숨겨져 있는 보물들을 찾아낼 수 있다. 

희귀한 옛날 카메라들 지금은 보기 힘든 옛날 카메라들이 진열된 모습이다. 옛날 필름카메라와 폴라로이드 카메라를 10000~15000원내로 구입할 수 있다.

벼룩시장은 전국에서 수집된 버려진 물건들이 재활용되어 다른 사람에게 쓰일 수 있도록 해준다. 누군가에게 쓸모가 없어져 버려진 물건들은 이곳을 통해 새 생명을 얻을 수 있다. 우리는 이곳에서, 도심 속 살아 숨 쉬는 옛 기억들을 만나는 시간을 가질 수 있었다.

 

신선하고 저렴한 고기가 한가득, ‘마장 축산물 시장

서울시 성동구 마장동에 위치한 마장축산물시장은 신선한 고기를 직접 고르고, 맛도 볼 수 있는 곳이다. 마장축산물시장은 1963년 종로구에 있던 한 도축장이 마장동으로 옮겨오고 도축장 주변에 소와 돼지의 내장과 부산물을 파는 상점들이 점차 늘어나면서 자연스럽게 오늘의 마장축산물시장으로 형성되었다. 

 마장 축산물 시장

시장의 입구부터 그 규모와 명성에 어울리는 시장안내간판이 크게 위치하고 있다. 한꺼번에 여러 명의 사람들이 어렵지 않게 이동할 수 있을 정도의 큰 길을 중심으로 여러 상점들이 줄지어 있다. 시각을 자극하는 선홍빛 고기의 색감은, 먹어 보지도 않았지만 사람들의 미각을 자극한다.

 

선홍빛의 질 좋고 신선한 소고기

 마장축산물시장은 원산지와 가격표시가 의무화 되어 있고, 3(정품, 정량, 정찰제)운동을 실시하는 등 빠르게 변화하는 고객들의 요구에 대응하기 위한 노력하고 있다. 씹고, 뜯고, 맛보고 즐기는 고기의 맛에 직접 보고, 찾고, 고르는 재미를 더해주는 마장축산물시장은 소비자와 상인, 서로와 서로를 위한 최고의 시장이다. 그러나 최근엔 SSM(기업형 슈퍼마켓)의 급증으로, 뜻하지 않은 불황을 겪고 있다. 접근성이 좋고 편리한 대규모 슈퍼마켓에서의 구매도 좋지만, 우리 전통시장에서의 볼거리를 즐기며 장을 보는 것도 새로운 즐거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건강해지는 냄새가 나는 골목, ‘서울약령시장

1호선 제기동역 2번 출구를 나오자마자 진한 한약 냄새가 코끝을 스쳤다. 여기는 우리나라 최대 규모의 한약재 시장인 서울약령시장이다. 이곳에는 약재상가와 한의원, 한약방등 약 1000여 곳의 한방전문점이 자리해 있고 전국 한약재의 약 70%가 이곳을 거쳐 간다고 할 만큼 좋은 품질의 한약재를 저렴하게 구매할 수 있는 명실상부 대한민국 한방의 메카로 유명하다.

 

서울약령시장 입구 입구에 들어서면 약재들의 알싸한 향이 맡아진다.  

뿐만 아니라 이미 서울약령시장은 중국과 대만, 홍콩, 일본, 뉴질랜드 같은 나라들과 활발한 거래가 이루어지는 국제적인 시장으로 성장한지 오래다.

 

다양한 약재들 평소 찾아보기 힘든 다양한 약재들이 시장 곳곳에 진열되어 있다.

평소 간편하게 즐기는 녹차잎과 국화차부터 고혈압에 좋다는 겨우살이, 숙취해소에 좋다고 알려진 헛개나무등 온갖 종류의 한방재료들이 모두 모여 있기 때문에 좋은 품질과 가격으로 건강을 챙기고 싶다면 서울약령시장을 찾아가보길 권한다. 

접근이 용이하지 않은 우리의 시장의 상권이 나날이 좁아지고 있다, 주거지 근처에 질 좋고 깨끗한 슈퍼마켓 계속해서 증가한 이후로, 깨끗하고 신뢰도가 높은 대형 마트도 좋지만, 볼거리가 풍부하고 유통단계의 마진이 축소되어 가격이 저렴하며, 흥정도 가능한 우리 전통시장을 이용해보는 것은 어떨까? 가족 나들이로 혹은, 크고 작은 가족행사가 있을 때 우리 전통 시장을 찾아보자, 아이들에겐 시장 특유의 인간미 넘치는 정을 체험할 수 있는 기회를 마련해 줄 것이며, 저렴하게 구입한 카메라로 시장을 누비는 우리 식구의 모습을 찍을 수도 있다, 또 우리의 식탁은 인간미 넘치는 재료로 풍성해질 것이다.

마장동 축산시장을 찾은 Ahn Lab 대학생 기자단

이번 시장탐방은 Ahn Lab 대학생 기자들에게도 색다른 즐거움을 가져다주었다. 사실 탐방을 계획했던 시장들이 서울 한복판에 위치한 시장들이었기에 옛것인심과는 거리가 멀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막상 우리가 경험한 전통 시장은 우리의 예상을 산산이 부수었다. 먼저 서울 벼룩시장은 벼룩시장 특성상 사람이 없을 것이라 생각한 것과 반대로 매우 붐볐다. 수많은 상인과 방문객들이 시장을 활기 넘치게 만들었고, 시장 한 바퀴를 돌면 허기가 질만큼 규모도 굉장히 컸다.

반면에 마장시장과 경동시장은 특성화된 시장이라는 이유도 있겠지만, 과거의 명성에 걸맞지 않게 사람들의 발길이 뜸한 듯 보였다. 그렇기 때문일까, 상인들은 방문 손님들을 따뜻한 미소로 친절하게 맞아주었다. 서울 한복판에 이렇듯 특성화된 전통시장들이 활발하게 운영되고 있을 것이라고는 미처 생각을 못했었기 때문에, 이번 전통시장 탐방은 무척이나 새로운 경험이었다.

각각의 특색을 잘 살려 제법 잘 꾸려져 있었기에 안랩 대학생 기자들도 구경에 정신을 쏙 뺐다. 계획상으론, 하루에 세 개의 시장을 구경하는 것이 그리 힘들지 않을 것이라 생각했다. 그러나 첫 번째 동묘 앞 벼룩시장부터 기자단은 시간가는 줄 모르고 구경하며 물건을 구입하였고, 덕분에 마지막 탐방이었던 마장동 축산시장에서 굶주린 배를 한껏 채울 수 있었다., 이번 주말, Ahn Lab 기자단이 소개한 서울 시내 곳곳에 숨어있는 전통 시장들을 탐방해 보며, 서울의 색다른 매력과 인심을 느껴보는 것은 어떨까? 

대학생기자 엄석환, 장진권, 송주연, 유남열, 김소정, 윤덕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