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컬처리뷰

연탄 배달에서 지식 기부로 진화하는 사회공헌

▮ ‘착한 소비’ 원하는 소비자, 사회공헌 중요성 ↑

요즘 세상을 움직이는 키워드 중 하나가 바로 ‘사회공헌’이다. 소비자들은 기업에게 점점 더 확실하고 꾸준한 사회적 책임(CSR : Corporate social responsibility)을 요구하고, 한 기업이 세계로 뻗어가는 글로벌 기업이 되기 위해서 지속가능경영은 필수가 되고 있다. 이러한 상황에서 기업에게 사회공헌은 더 이상 선택이 아닌 의무가 되고 있다.  

날이 갈수록 높아지는 사회의 요구와 기대에 발맞추어 기업들의 사회공헌의 패러다임도 변화하고 있다. 특히 거의 모든 대기업들은 과거와는 변화된 기부, 봉사, 캠페인 등을 통해 사회에 기여함과 동시에 이러한 사실을 소비자에게 알림으로써 기업의 이미지 쇄신과 홍보의 전략적 수단으로도 활용하고 있다. 

▮  “김장·연탄나르기·장학금” 뻔하디 뻔했다 

만약 여러분이 ‘기업의 사회공헌’ 에 대해 생각할 때 가장 먼저 떠오르는 모습은 무엇일까?
아마 지긋한 나이의 대기업 임직원들이 빨간 고무장갑을 끼고 김장을 담그는 모습, 목장갑을 끼고 나란히 줄 서서 연탄을 전달하는 모습은 아니었나? 

사회공헌의 중요성이 제기되고 기업들이 나서기 시작했을 초기에는 단순한 기부, 즉 장학금, 모금활동, 수익기부 등이 일반적이었고 봉사활동이라고 해도 소외이웃을 위한 김장담그기, 연탄 나눔 등이 대부분이었다. 이러한 형식은 어느새 복사된 것 처럼 기업들의 사회공헌 전반이 갖는 공통점이 되었다. 그래서 따라하기식이란 평가를 받아왔다. 그러나 과거의 일시적이고 판에 박힌 듯 했던 사회공헌은 현재 좀 더 전문적, 지속적 개성적인 특색을 띄고 있다. 각 기업의 특성과 개인의 재능을 살린 효율적인 공헌방식이 대중화 되고 있는 것이다.

▮ 공헌의 새로운 바람, ‘특성을 살려라’

개인이나 기업이 가진 재능과 특성을 살린 다양한 기부형태의 바람이 불고 있다. 기업 내에 비슷한 취미와 흥미를 가진 사람들이 모여 활동하는 사내 동아리가 많다. 그러한 동아리의 특성을 살려 회사 내 인재들의 재능과 취미활동을 공헌활동에 적극 응용하고있다. 예를 들면 스킨스쿠버 동아리가 국내 바다의 해파리 퇴치 활동에 참여해 자신들의 재능·취미활동을 적극 활용한 공헌을 하는 것이다. 이러한 사회공헌에는 일반적으로 사업 분야에 따라 비슷한 특징을 보인다.

IT기업들의 경우 정보의 격차를 해소하기 위한 활동에 주력한다. 정보사각지대에 있는 계층(농어촌, 저소득, 다문화가정, 노인 등)을 위한 정보화 교육을 통한 지식기부를 진행하고 있다. 직원 봉사단을 파견하거나 정보센터를 지어 운영하는 방식이다.

KT의 경우 'IT 서포터즈‘ 활동을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각종 스마트 기기를 활용하도록 돕고 있다. SK텔레콤도 자신들의 전문 역량을 십분 발휘할 수 있는 ‘찾아가는 스마트교실’을 운영하고 있다. 소프트웨어기업인 이스트 소프트의 경우는 개발도상국에 재사용 PC를 기증하는 사회적 기업에 백신 프로그램을 기증하고 있다. 

대표적 정보보안 기업인 안랩은 컴퓨터 바이러스 백신을 무료 배포하며 안전한 PC와 인터넷 환경을 만드는 데 앞장서 왔다. 또한 미래의 IT 코리아를 이끌 청소년들을 성장시키기 위해 청소년 보안교실 V스쿨을 매년 2회씩 직접 개최하며 다양한 공익목적의 교육, 문화 행사에 참여하고 있다.

  

(사진출처 : 안랩 사보 블로그 보안세상)

전자분야의 경우 자사 제품을 통한 기부활동을 이어나가고 있다. 특히 장애인을 위한 제품 등을 개발단계부터 고려해 제작해 제공하고 있다.  LG전자는 지난 2006년부터 매년 시각장애인용 휴대폰을 개발, 도서관에 음성 디지털 도서를 탑재해 무료 배포하고 있다.

패션회사의 경우 자사의 기부전용 기획 상품을 제작해 그 상품을 판매한 수익금을 기부하는 형식이 보편적이다. 제일모직의 경우 자사 브랜드인 구호(KUHO)에서 ‘하트 포 아이’ 캠페인을 2006년부터 진행 중이다. 캠페인 티셔츠 판매 수익금 전액을 시각장애 어린이의 개안수술 기금으로 기부한다. 얼마 전 이효리와 장범준이 기부 티셔츠를 입고 화보를 찍어 화제가 되기도 했다.

     (사진출처 : firstlook)

 

자동차 업계의 경우는 '움직임'과 관련된 공헌활동이 주를 이룬다. 현대 자동차는 모든 사람들의 ‘이지무브(EASY MOVE)’ 를 목표로 장애인, 노인, 어린이, 임산부 등 교통약자들을 위한 다양한 이동편의 증진사업을 펼치고 있다. 장애인 전용 차량을 개발·제작해 기부해 운영하고 있으며, 찾아가는 장애아동 체험놀이방 등을 운영하고 있다. 기아자동차는 키즈오토파크를 건설해 어린이를 대상으로 하는 체험 위주의 교통 학습 테마파크를 운영 중이다. 

▮ 공익을 위하여 (for the public good) , 프로보노(Pro Bono)

재능기부를 말할 때 빠지지 않는 것이 바로 프로보노이다. 프로보노(Pro Bono)는 '공익을 위하여(for the public good)' 이라는 뜻의 라틴어 'pro bono publico'의 약어다. 이 말은 미국변호사협회가 소속 변호사들에게 변호사가 필요하나 여건이 안 되는 사람에게 무료 변론이나 볍률상담 서비스를 해주는 등 연간 50시간 이상 사회공헌 활동을 하도록 규정한 데서 나왔다.

프로보노 즉 재능기부의 장점은 기업이나 개인이 잘할 수 있는 분야를 통해 공헌활동을 하는 것이므로 기부자, 수혜자 모두 더 높은 만족도를 가질 수 있다는 점이다. 과거에는 물질적인 면을 강조한 일방적 기부형식의 사회공헌이 주를 이루었다면 현재는 본인이나 기업의 특성과 재능을 통해 직접적으로 수혜자와 만나고, 소통하여 기부하는 형태의 공헌활동이 증가하는 추세이다. 기부자 측에서만 만족하는 기부가 아니라 받는 수혜자에게 귀를 더 귀울이고, 자신들이 할 수 있는 요소를 최대한 활용함으로써 두 측 모두가 만족하는 공헌활동이 과거보다 더 호응을 받는 것은 당연한 일이다. 

그러나 아직도 많은 사람들은 기업이 단순히 전략적 마케팅의 일환으로 사회공헌활동을 한다고 보고있다. 이러한 시선을 전환시키기 위해서라도 각 사의 사회적 책임에 대한 노력을 꾸준히 이어나가야 할 것이며, 각 사의 경영철학에 이러한 진심을 담아 그 기업의 공헌활동의 가치도 높이는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Ahn



대학생기자 양보나 / 성균관대 유학동양학과

「꿈과 현실의 격차를 두려워 하지마라 꿈을 꿀 수 있는 것은 현실로도 만들 수 있다 」
- 마가렛 대처 자서전 中 
어떤 장애물도 겁없이 넘어버리는 사람이 되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