윈도우7이 출시된 지 한 달 만에 점유율 4%가 되었다. 미국의 이야기이지만 국내에서도 반응이 매우 좋은 듯하다. MS가 VISTA의 굴욕을 만회하기 위해 야심차게 준비한 윈도우7. 윈도우7의 기능부터 간단히 알아보자.
- 기존 운영체제에 비해 가벼워지고 빨라졌다.
윈도우 비스타는 메모리를 많이 차지하고, CPU 사용률도 높아 체감적으로도 무겁고 느린 반면, 윈도우7은 메모리를 적게 차지하며 CPU 사용률도 낮다. 또한 XP를 사용중인 PC에서도 구동이 가능하고 오히려 XP보다 좋은 환경에서 작업이 가능하다.
- 유저인터페이스의 변화.
윈도우7의 GUI는 기존의 윈도우에 비해 더욱 빨라지고 더욱 아름다워 졌다.
에어로 피크, 에어로 쉐이크, 에어로 스냅, 에어로 3D 플립, 에어로 썸네일, 에어로 글래스가 대표적인 예다.
- UAC(사용자계정컨트롤) 조작의 단순화.
VISTA에서 말이 많았던 UAC. 윈도우7에서는 제어판에서 간편하게 조절이 가능해졌으며 총 4단계로 세분화 되어 설정이 가능하다.
- 키보드 없는 세상, 터치스크린의 적용
아이폰의 성공과 함께 같이 부상한 터치스크린. 올인원 PC, MID등에 적용시킴으로써 그 성공가능성을 확인하였고 윈도우7에도 적용되었다.
- 멀티미디어 기능의 강화
윈도우미디어플레이어12가 탑재되어 있다. 또한 다이렉트11을 지원할 예정이다.
- 하드웨어 드라이버의 강화
기존 윈도우에서 새하드웨어를 연결시 드라이버를 별도로 설치해야만 했던 불편함이 사라졌다.
전체적으로 기존 윈도우보다 가벼워지고 빨라졌으며, 아름다워졌다는 평가를 받는다. 또한 윈도우7은 개인뿐만 아니라 기업들도 기다린 제품이다. 그렇다면 윈도우7의 출시로 시장은 어떻게 변화할까?
- PC 수요의 증가
현재까지 윈도우7의 평가는 매우 긍정적이다. 또한 XP는 이미 단종되었고, VISTA에 이어서 윈도우7까지 출시된 마당에 더 이상 XP의 수요는 없을 것이다. 결국 윈도우7을 사용해야 하고 이는 PC의 업그레이드 열풍으로 이어질 것이다. 또한 VISTA로의 업그레이드를 하지 않은 기업과 관공서는 더 이상 지체 할 수 없다.
- 하드웨어 생산업체의 호조
PC의 수요가 증가하고, 대박 운영체제라 불리는 윈도우7의 급행 버스에 동승하기 위한 PC 하드웨어 업체들의 발걸음 역시 분주하다. CPU, 그래픽카드, 메인보드 등의 업체들은 이미 다양한 생산 라인업을 확보한 상황이다.
- 다양한 제품과의 결합
최근 MID, 올인원 PC 등과 같은 제품들이 각광받는다. MID 같은 경우도 XP를 탑제함으로써 시장에서 큰 인기를 모았는데, 윈도우7은 터치를 지원함으로써 다양한 디바이스와 호환 될 것으로 보인다.
- 그래픽카드와 SSD 제품의 강세
윈도우7은 CPU의 그래픽처리 기능을 GPU가 분담하는 부분을 크게 높임으로써 전체적인 PC 성능을 높이는 효과를 가져왔다. 때문에 윈도우7에서 그래픽카드를 업그레이드하면 PC 안정화의 효과를 볼 수 있다. 또한 기존 HDD보다 속도도 빠르고, 소음과 발열도 적은 SSD 각광을 받을 것이다. SSD는 위와 같은 장점이 있었지만 다소 비싼 가격과 프리징 현상 때문에 일반 PC에서는 대중화하지 못했다. 그러나 윈도우7은 프리징 현상을 해결해줄 프로그램이 기본으로 탑재된 것으로 알려져 있다.
그러나 윈도우7의 미래가 무조건 밝다고만 볼 수는 없다. 그 이유로는
첫째, 윈도우7은 애플을 따라하기에 급급한 운영체제라는 비판이 일고 있다.
실질적으로 윈도우7의 기술은 대부분 VISTA에서 지원하며, 윈도우7의 터치 기술은 애플 아이폰의 멀티터치 기술이다. 또한 전체적인 UI도 애플의 맥과 비슷하다는 의견도 있다.
둘째, 윈도우7의 터치 기술이 시장에서 성공할지는 미지수다.
터치 시장에서 애플의 아이폰이 큰 성공을 거두었지만, 전체적으로 아직은 걸음마 단계다. 또한 올인원 제품들이 많이 출시되었지만, 아직까지 대중화 단계는 아니다. 더욱이 MS의 PC 터치 기술 역시 걸음마 단계이기 때문이다.
셋째, XP 사용자의 움직임이 없다.
XP가 단종되었지만 XP를 사용하기에 아직 큰 불편함이 없다. VISTA 역시 XP의 벽을 넘지 못했으며, XP가 장기집권한 덕분에 모든 프로그램은 XP에 맞추어져 있다고 봐도 무방하기 때문이다. MS에 효자 노릇을 했던 XP가 차세대 제품의 발목을 붙잡고 있는 상황이다.
넷째, 아직은 호환성이 불안정하다.
호환성 때문에 많은 비난을 받았던 VISTA. 윈도우7은 XP에서 사용하던 프로그램들 대부분을 사용할 수 있다고 하지만, 아직은 하드웨어 지원조차도 불안정하다.
윈도우7을 사용해본 누리꾼의 평가는 대체로 긍정적인 편이다. 그렇다고 부정적 측면도 있으니 안심해서도 안된다. 방아쇠는 당겨졌다. 윈도우7이 새로운 효자상품이 될지 아니면 VISTA의 뒤를 이을지, MS의 행보를 지켜보자. Ahn
인생에 있어서 디딤돌인지, 걸림돌인지는 자기에게 달려있다고 한다. 행운은 우연히 오는 것이 아니라 내가 만들어 간다는 정신으로 열심히 산다. 안랩 대학생기자 활동이 인생의 디딤돌이 되었으면 한다.
'보안라이프 > IT트렌드' 카테고리의 다른 글
IT 강국 코리아의 명성 인도에 내주나? (2) | 2010.05.06 |
---|---|
스마트폰, 아이폰은 어르신도 열공에 빠지게 한다 (6) | 2010.04.27 |
2차 웹브라우저 전쟁의 승자 IE의 미래는? (15) | 2010.03.17 |
아이폰 구입 시 고려할 7가지 (27) | 2009.11.27 |
윈도우7이 뜰 이유 vs 안 뜰 이유 (28) | 2009.11.16 |
김연아 이외수도 한다는 트위터가 뭐길래? (18) | 2009.08.28 |
현재 윈도7을 사용하고 있어 관심있게 봤어요 ㅎㅎ
전엔 비스타를 썼는데 그렇게 망한 운영체제는 아니라고 생각했는데~
그러나 윈도우7을 사용하면서 인터페이스나 속도나 다른면에서 괜찮은 것 같아
성공할 것 같은 예감이 듭니다 ㅎㅎ
V스쿨계의 얼리어답터 요시님 ㅋ
전...VISTA는 구경도 못해봤습니다..ㅠ
정말 일목요연하게 설명을 잘해 주신 것 같아요.
전에 Windows 7 발표회때 이석현 부장님께서 말씀 하신 것 처럼
Vista가 결코 망한 OS가 아닌 이유가 생각나네요.
Vista가 아니였으면 Windows 7도 이렇게 태어나지 않았다...
정말 맞는 이야기 같아요.
그래서 더 빠르고 다양한 기능이 탑재된 Win 7이 탄생되지 않았나 싶네요 ^^
실패는 성공의 어머니1!!
윈도우7 얼른 써보고 싶네요^^ㅎ
무척이나 끌리는 플랫폼이지요!
아마 제 다음 컴퓨터에서는 이녀석과 함께 하지 않을까 싶네요 ㅎㅎㅎ
벌써부터 기대되는군요 >.<
네 저도 열렬히 사모하고 있습니다^^
인터뷰 응해주셔서 너무 감사합니다 ㅋ
일단 컴퓨터부터 교체.......OTL
아직은 xp가 편한것 같다는 개인적인 생각..ㅋ
아직 윈7을 접해보지 못했어요 ㅠ
저도 XP입니다.....ㅎㅎ
저도 아직 윈도우7은 사용해보지 못했지만 XP가 편해서...우선은 계속 XP를 쓸 계획입니다.
전 변화에 둔하니깐요 ^^;
사실 저도 아직까지 XP랍니다 ㅋ
저도 당분간은 XP를 쓸겁니다^^ㅋ
Windows7에서 하드웨어 및 어플리케이션 호환성 문제는 VT를 통해 VM을 실행해 완벽히 해결이 가능하다고 생각되네요. 본문에는 언급이 안됬지만, VT도 정말 좋은 기능이라고 생각합니다.^^
좋은 정보 감사합니다 ^^
아..감사합니다^_^
개인적으로 뜬다고 봅니다. ^^
제 주위에서도 관심이 많거든요...그런데 그것이 얼마나 빠른 시간안에 이루어지느냐가 문제겠죠.
네, 그리고 얼마나 안정적으로 유지되는냐가 관건이겠지요? ^^
반은 성공했다고 봅니다^^
개인적으론 '눈표범'이 가장 관심가는 운영체제이긴 하지만 매킨토시 아니면 쓸 수 없는 운영체제니...윈도7은 서비스팩2가 나올 즈음이면 딱 대중화되어 있으리라 생각합니다.
애플의 스노래퍼드 말씀이시군요
개인적으로 래퍼드를 좋아해서
저도 관심이 많습니다 ㅋ
관심은 있지만 자금의 압박이..ㅠㅠ
얼리어댑터가 아니니
한참동안 이대로 XP에 상주하고 있어야할 것 같군요....^^
하지만,
가능하다면 당장에라도 7로 가고싶습니다.^^
ㅋ 그래도 아직까지 많은 분들이 xp쓰시는거 같아요
저도 당장가고 싶지만 여건이 안됩니다 ㅠㅠ
비밀댓글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