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컬처리뷰

“다음 학기는 내가 과탑!“ 학과별 성적우수자들이 알려주는 학점관리 꿀팁


고등학교 때와 수업 방식이 달라..”

? 문제가 다 서술형이네..!?”

도대체 학점관리는 어떻게 해야되는 거지??”

 

새 학기가 시작한지 두 달이 지난 이 시점,

혼란스러워 하고 있을 새내기들을 위해 각 학과별 성적우수자 선배들을 인터뷰해 보았다.

 

 문과

 정다슬

3학년 

행정학과 [이하 '행정'] 

 조수이

2학년 

법학과 [이하 '법'] 

 이과

 한승우

2학년

전자정보통신공학과 [이하 '전자'] 

 이지수

4학년 

물리학과 [이하 '물리']

 


 

 

1. 학점 관리는 왜 하고 계신건가요?

 

 

[] 전 노는 걸 참 좋아하고, 빈둥대는 것도 사실 좋아합니다. 그런데 제가 학생이라는 신분에 있는데, 아무리 귀찮아도 학생으로서의 의무는 다 하고 놀아왔다는 걸 스스로 증명하고 싶었습니다. 그래서 방황할 때도, 공부가 너무 하기 싫을 때도, 늘 목표는 A+, 마지노선은 B+로 두었고, 그 원칙에 맞춰 행동하다보니 학점관리가 자연스레 된 것 같습니다.

 

 

[물리] 저는 대학원 진학이 목표입니다. 물리 교수가 오랜 제 꿈이었는데, 국내 유수 대학원들이 학부성적을 매우 중요하게 생각하기도 하고, 제가 대학원에 갔을 때 멋진 연구들을 무리 없이 수행하기 위해서는 기본기를 탄탄하게 다져놔야 한다고 생각했어요. 학점관리는 그 기본기를 다지는 과정 중 일부라고 생각했고요.

 

 

[전자] 저는 다른 학우들처럼 동아리 활동을 열심히 한다던지, 특별한 자격증을 준비하지 않기 때문에 학교생활에라도 성실하자! 라는 마인드로 학점 관리를 하려고 노력하고 있습니다. , 졸업 후, 취업을 하거나 대학원에 진학할 때 등 여러 진로를 생각해 본다면 학점이 낮은 것 보다는 높은 것이 유리할 것 같아 관리했습니다.

 

 

[행정] 졸업 후에 제가 어떤 진로를 택할지는 아직은 모르는 일이지만, 만일 학점이 제 진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치는 시기가 온다면, 그 때 발목 잡히고 싶지 않아서 꾸준히 관리하고 있습니다.

 

 

2. 대학생이 되면 보통 자유로운 캠퍼스라이프를 꿈꾸기 마련인데, 대학교에서 놀면서 공부하기, 과연 가능한건가요?

 

 

[행정] 저는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고등학생 때를 생각해보면 아침 일찍부터 학교에 가서 거의 저녁때가 다 되어서야 집에 오는데, 대학생이 되면 통학시간을 감안해도 시간표만 잘 짠다면 3-4시에 집에 오는 경우도 비일비재 합니다. 남는 게 시간인데 못 놀 이유가 전혀 없습니다. 결국 시간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의 문제겠죠?

 

 

[] 저도 가능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쉬고 싶을 땐 집순이처럼 집에서 늘어지게 쉬고, 놀고 싶을 땐 나가서 스탠딩 공연, 체험활동, 여행 등 가리지 않고 몸을 불사르면서 놉니다. 다만 공부해야 할 때 그 순간만큼은 온 힘을 다해 집중하려고 노력합니다.

저는 지난 학기에 듣고 싶은 수업이 많아 22학점을 듣고, 해보고 싶은 아르바이트가 생겨서 주 540시간 알바까지 해보았어요. 그렇게 바쁜 와중에도 그 안에서 시간을 쪼개고 쪼개며 집중하니 그래도 4점대 학점은 받을 수 있었어요. 시간을 잘만 쪼개고 해야 할 일에 집중할 수 있다면 노는 것과 학점관리는 충분히 양립 가능합니다.

 

 

[물리] 기대치에 따라 다르다고 생각합니다. ‘난 고3때 공부하느라 너무 힘들었어! 대학 왔으니까 이제 진짜 마음껏 놀아볼꺼야!’ 라고 생각하신다면.. 생각보다 놀 시간이 많지 않을 수도 있어요.(웃음) 특히 이과는 과제나 퀴즈 등등 시험기간 외에도 할 게 많기 때문에, 마냥 놀기만 해선 제대로 공부하기 어려울 수 있죠. ‘해야 할 건 확실히 해 놓고 놀겠다는 마음가짐을 가지셔야 학업과 놀이의 밸런스를 맞출 수 있을 것 같아요.

 

 

[전자] 저는 아직 저학번이기 때문에 고학번보다는 아무래도 시간적 여유가 있는 편인 것 같은데요, 그런 점을 감안하더라도 놀면서 공부하기는 충분히 가능 할 것 같습니다. 특히 1학년 때에는 출석해서 수업만 열심히 잘 들어도 절반은 완성된다고 생각합니다. 또한 일주일에 하루 정도 그 주 수업을 되돌아보며 복습해준다면 그 정도로도 충분할 것 같네요.

 

 

3. 고등학교 공부와 대학교 공부의 차이점이 있다면?

 

 

[물리] 떠먹여주는게 없죠. 그런 유행어 있지 않았나요? “학생이라는 죄로... 학교라는 감옥에 갇혀... 졸업이라는 석방을 기다린다...” 고등학교 때는 싫어도 야자 해야 했고, 제대로 안하면 선생님께 혼도 나고 했는데, 대학생부터는 모든 게 자기 재량에 달려있어요. 대외활동도 알아서찾아서 해야 하고, 교수님 설명이 이해가 안되면 알아서보충공부해서 이해를 해야 하고.. 그저 시키는 것만 잘하는 걸론 부족하다는 게 좀 다른 것 같아요. 아 참, 그리고 모든 교수님들이 고등학교 선생님들처럼 설명을 친절하게 해 주지는 않으신답니다.

 

 

[] 고등학교 공부는 사회탐구, 과학탐구 과목 말고는 제가 선택할 수 있는 게 사실 없잖아요? 하지만 대학은 필수과목들을 제외해도 제가 들을 수 있는 자유 학점들이 많습니다. 제가 듣고 싶은 것들을 골라 시간표를 짜고, 내 관심사와 일정에 맞추어서 학습할 것들을 고를 수 있다는 것이 큰 차이점인 것 같아요. 그리고 교과 외에도 보고 느끼며 배울 수 있는 여지가 더 많은 것 같다는 생각도 드네요. 같은 대학에 다니지만, 서로 다른 꿈을 향해 나아가는 다른 전공의 학생들도 만날 수 있고, 다른 학교의 같은 전공인 학우들과도 교류하는 등 더 넓고 자율적인 공부를 할 수 있는 것 같습니다.

물론 이 자율이라는 것이 고등학교 때와는 다르게, 내 일정을 내 스스로 선택하고 굴릴 수 있는 시간의 양이 많아진 만큼, 잘 다스리지 못하면 오히려 독이 될 수 있다는 점에서도 차이가 있는 것 같아요!

 

 

[행정] 고등학교 공부는 모든 부분에서 꼼꼼하게 공부가 되어있어야 문제를 풀 수 있는 경우가 많았습니다. 그래서 저도 고등학교 때는 시험공부기간을 굉장히 오래 잡고 가능한 모든 것을 다 공부하려고 했던 기억이 있습니다. 하지만 대학교 공부는 마냥 오래 공부한다고 성적을 잘 받는 건 아닌 것 같아요. 아예 어떤 문제를 낼지 알려주시는 교수님들도 계시고, (특히 문과에서는) 문제가 서술형으로만 나오는 경우도 많기 때문에, 학습의 양보다는 질이 더 중요한 것 같습니다.

결국 고등학교 공부가 주입식으로 모든 것을 다 머리에 넣을 것을 요구했다면 대학교 공부는 자신이 그 과목에 얼마나 관심을 갖고 깊은 이해를 하는지가 중요한 것이죠.

 

 

4. 본인의 과 특성을 고려한 학점관리 꿀팁이 있다면?

 

 

[] 법학과는 우선 외울 것이 많습니다. 용어부터 법전까지, 누구든 처음 보면 당황스러울 수 밖에 없어요. 전 특별히 한문을 잘 익혀놓지도 않은 터라, 휴대폰에 모바일 로스쿨 민사법, 형사법, 공법을 우선 깔아 두고 수업시간에 교수님들이 말씀하시면 바로 법전의 조항 번호를 쳐서 수업을 따라가곤 했어요. 한글로 된 법 조항을 작게 제본해서 들고 다니는 것도 좋은 방법인 듯 합니다.

사실 법학은 사람과 사람 사이에서 생기는 문제이기 때문에, 교안을 볼 때도 용어에 겁을 먹는 것 보다는 차분히 읽어보고, 상황을 노트 자투리 면에 A,B,C와 같이 당사자들을 그려놓고 화살표를 이용해 인과관계를 연필로 적어보면 이해가 쉽습니다. 한번 볼 때는 어렵지만 여러 번 반복하다보면 처음에 이해가 안됐던 것들도 어렴풋이 각이 잡히기 시작하더라구요. 그래서, 너무 자신 없던 전공도 막상 시험은 제 기대보다 잘 보고 나올 수 있었어요!

 

 

[행정] 저희 학과 같은 경우는 전공시험이 대부분 서술형으로 나오고 문제의 유형도 구체적이기 보다는 굉장히 포괄적으로 나오는 편입니다. 따라서 답만 고르는 훈련을 해선 안되고, 그 과목에 대한 전반적인 이해를 했는지가 굉장히 중요합니다. , 내가 아는 것을 얼만큼 집약적이면서도 효과적이게 글에 녹여내느냐가 관건이라고 생각합니다. 그래서 저는 시험 전에 항상 교수님이 어떤 문제를 내지 예상을 해보고 그 문제의 답을 미리 서술식으로 써보는 연습을 합니다.

 

 

[전자] 저는 고등학교 때 물리를 하지 않아서 수업을 듣는 데에 어려움이 있었습니다. 과의 특성 상 물리의 전기 쪽 기본 개념을 활용하는 과목들이 많은데요, 본인이 이러한 부분을 전혀 모른다면 인터넷 강의나 고등학교 참고서등을 참조하며 기본 개념을 한번 다진 후에 공부하는게 좋을 것 같습니다.

 

 

[물리] 많은 새내기 학우분들께서 물리의 자만 들어도 질색을 하실 만큼 물리에 어려움을 겪고 있다는 거 알고 있습니다. 제가 조언해드리고 싶은 것은, 기초를 잘 잡으셔야 한다는 겁니다. 근간을 잡으세요. 문제와 유형은 그 다음입니다. 공식을 단순히 암기하고 바로 문제풀이에 돌입하신다면 틀림없이 부담을 느끼실 겁니다. 문제를 어떻게 풀지 고민하지 마시고, 이 문제에 왜 이 물리법칙이 적용되는지를 고민하시다보면 의외로 문제는 쉽게 풀립니다. 수많은 수식들에 부담을 느끼지 마세요. 물리는 결국 우리 주변에서 일어나는 이야기들입니다.

 

 

5. 마지막으로 새내기가 된지 얼마 안된 새내기들에게 하고 싶은 말이 있다면?

 

 

[전자] 대학교에서는 공부 뿐 아니라 다양한 활동을 하는 것이 중요한 것 같습니다. 특히 1학년 때는 꼭 공부가 아니더라도 동아리 활동이나 대외 활동 등, 자신이 흥미를 갖는 활동에 한번쯤 열정적으로 참여해 보는 것도 높은 학점만큼이나 의미가 있다고 생각합니다.

 

 

[행정] 새내기 때부터 학점에 너무 연연할 필요는 없습니다. 사람들도 많이 만나보고, 홀로 배낭여행을 다녀와 보기도 하고, 연애도 해보면서 다시 오지 않을 대학생활을 알차게 즐겼으면 좋겠습니다.

 

 

[] 저는 오랜 시간동안 방황했어요. 학교를 들어오기 전에도, 학교를 들어온 후에도. 학교를 옮기고자 수능을 다시 쳐보기도 했고, 공부하는 과정에서 많이 울어보기도 했네요. 지금 힘든 시기를 겪고 방황하는 분들에게는 별 위로가 되지 않을 수도 있지만, 한가지의 기준만이 답이 아닐 수도 있다는 것, 정말 내가 크게 본 기준이 사실은 정말 일부에 불과할 수 있다는 것. 자신의 위치에서 돌아보고 내가 무엇을 원하는지, 무엇을 잘 할 수 있을지 생각해보았으면 좋겠어요. 남들이 세운 기준이 아니라, 내가 무얼 해야 행복할 수 있을지 많이 고민하고, 어떤 것이든 배워보려는 의지를 가지고 하루를 시작하셨으면 좋겠습니다. 저는 한 길만 바라봤기에 너무 힘들고 아팠던 적이 많았어요. 그 시간이 지금 생각하면 참 아쉽기도 하네요. 우리들은 너무나 젊고, 그 무엇이든 할 수 있는 나이니까 다른 곳을 한번 둘러보는 것이 결코 헛되지 않을 거에요! 주변을 새로운 마음으로 둘러보면 못보고 지나쳤던 것들이 보이니까, 많이 생각하고 고민해보고, 그 과정에서 스스로의 기준을 만드시고 그에 맞는 길을 터가며 자신을 사랑스럽게 바라봐주고 응원해주는 하루하루가 모이기를 바라요!

 

 

[물리] 고등학생 때까지는 어쩔 수 없겠지만, 대학생이 되신 뒤부터는 지나치게 경쟁적으로 살진 않으셨으면 좋겠습니다. 뭐 하나를 하시더라도 주변 친구들과 꼭 함께하라고 말씀드리고 싶어요. 고등학생 때는 1,2,3.. 이렇게 석차를 매겼다면, 대학생부터는 상위 25% A/A+, 그 다음 35% B/B+ ... 이런 식으로 나뉘어지잖아요? 충분히 서로 도우며 윈윈할 수 있는 구조입니다. 주변 친구들과 함께 공부하고, 놀고, 활동하며 서로의 꿈을 찾아가고, 그 과정에서 책임감, 연대감을 배우고... 이 모든 것들이 학점과 바꿀 수 없는 소중한 공부라고 생각합니다. 연애도 그 중 하나일 수 있겠네요. (고등학교 때는 상대적으로 덜 강조된 공부이기도 했지요.) 사람들을 많이 만나고 사람들로부터 많은 것들을 배워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