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산책/컬처리뷰

연극 <특별한 저녁식사> 가족 소통의 중요성을 말하다.



오혜원 작, 조연호 연출, 극단 은행나무가 제작한 연극 특별한 저녁식사가 대학로 한양레퍼토리씨어터에서 공연을 성공적으로 막을 내렸다. 부모의 이혼으로 해체된 가정과 각자의 꿈을 쫓으며 살아간다고는 하지만 미완성된 자녀들, 함께 사는 것은 커녕 함께 평온한 식사조차 불가능한, 흔히 말하는 풍비박산 집안이 연극 주인공들의 현 상황을 말해주는 단어이다. 막내딸은 약혼자를 가족에게 선보이기 위해 저녁식사라는 핑계로 해체된 가족을 모으게 되는데, 그녀가 가족에게 바라는 것은 약혼자에게 화목한 가족으로 보였으면 하는 것. 막내딸의 바람대로 가족은 연기를 시작한다는 것이 이 연극의 줄거리이다.

 


[불통의 가족들 : 현대 가족들의 소통부재 역설]

연극 캐릭터의 개성은 뚜렷하다 못해 과할 정도로 분명하다는 것이 이 연극의 특징이다. 결혼은 인생의 무덤이며 총알이 날아드는 전쟁터라는 아버지. 어머니 역시 평범하지 않다. 어머니는 오랜만에 만난 가족을 보자 바로 다단계 치약을 판매에 나선다. 그들의 자식들 역시 우리 사회에서 쉽게 볼 수 없는 독특한 모습을 보인다. 나이를 먹었음에도 세상물정을 모르고 로커를 꿈꾸며 뒷골목 예술가의 인생을 살겠다는 아들 건우와, 사람보다 지구 생태계를 더 신경 쓰며 가족에게 후원금을 강요하는 큰 딸 선미, 그리고 이들을 한 자리에 모은 장본인인 막내 딸 선우는 평범한 사람처럼 보이지만, 본인의 성공적인 결혼을 위해 가족들에게 거짓상황을 연기할 것을 요구한다.

이 자유분방하고도 개성 넘치는 캐릭터들은 공통적으로 각자의 삶에만 매몰되어 주변을 살피지 않으며 상대와 소통하지 않는다는 특징이 있다. 이들은 오랜만에 한 자리에 모였음에도 일상적인 대화를 나누지 못하고 서로 티격태격 말다툼 하기에 바쁘다. 본인의 생각이 무조건 옳다고 생각하는 독불장군 아버지는 가족들에게 큰 목소리로 호통만 치고, 아들 건우는 그것을 무시한 채 헤드폰을 쓰고 기타만 친다. 어머니 또한 가족 불화의 원인은 모두 아버지에게 있다며 상황을 회피할 뿐 문제를 해결하려 하지 않는다. 큰 딸 선미는 이야기 주제와 관계 없는 지구 온난화의 심각성만 주구장창 이야기 하고, 이들을 중재하는 막내딸 선우 역시 다른 사람의 잘못을 지적하지만 사실 본인 역시 그들과 같은 행동을 똑같이 한다. 독특하지만 현실적인 이들의 모습에서 현대인들의 이기적인 모습을 풍자하고 소통하지 않는 현대 가족 실태를 찾아보는 재미를 느낄 수 있다.

 


[특별한 손님 : 해체된 가족 간의 연결]

가족들은 티격태격 하면서도 막내딸 선우의 부탁을 거절하지 못하고 특별한 손님인 선우의 예비신랑 진호에게 선의의 거짓말(화목한 가족인 척)을 한다. 연극 내에서 진호라는 캐릭터는 실제 가족의 상황을 모른 채 순수한 행동만을 하는 인물로 가족의 긍정적 변화를 이끌어 낸다. 이 특별한 손님 덕분에 아버지는 없던 가훈을 만들기도 하고 억지로지만 진호가 준비한 커플티를 어머니와 입는다. 또 불통하며 자기 이야기만 하던 가족들은 지구온난화라는 하나의 공통된 주제를 가지고 함께 이야기를 이어가는데 이는 연극 초반의 모습과 대조되는 모습으로 가족이 조금씩 변화하고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즉 진호가 선우가족에게 긍정적인 에너지를 전달하며 해체된 가족을 다시 하나로 연결해주는 매개체의 역할을 한다는 것을 엿볼 수 있다. 화목하지 않은 가정에 특별한 손님 하나가 커다란 변화를 일으킨다는 뻔한 내용이지만, 이를 통해 우리 사회 속에서도 진호라는 캐릭터처럼 갈등을 해결해줄 매개체의 필요성에 대해 생각해볼 수 있는 시간을 만들어준다.

 


[아버지의 언어유희 : 아버지의 속마음 표현]

아버지는 연극 중간중간 언어유희를 구사한다. 진호의 갑작스런 물음에 아버지가 즉흥적으로 지어낸 가훈 지금처럼만 살자는 해체된 가족의 상황과는 어울리지 않는다. 상황에 맞지 않는 말은 관객들의 웃음을 유발하는 장치로 사용된다. 그 뿐만이 아니라 가훈에는 소통 없이 살아가는 현재의 가족모습에 불만과 화목한 가정으로의 변화를 원하는 아버지의 무의식을 역설적으로 담았다고 말할 수 있다. 연극 초반 무뚝뚝하고 불만이 가득했던 아버지의 표정과 목소리와는 달리 연극 후반이 되면서 가족이 모이고, 이야기를 나누며 점점 밝아지는 아버지의 표정에서 그것을 유추해볼 수 있기 때문이다. 연극 끝에서는 가족이 오랜만에 외식을 나가며 행복한 결말을 짓는다. 아버지의 언어유희가 단순히 유희로 끝나는 것이 아닌 이야기 진행에 있어 한 축을 담당하고 있다는 것을 생각할 수 있다.

즉 아버지의 언어유희는 가족 간의 갈등으로 과열된 분위기를 잠시 누그러뜨리는 반전의 장치로, 이후 일어날 이야기의 암시 역할로도 한 몫 한다. 단순한 말장난처럼 보일 수 있으나, 아버지의 언어유희 속에는 나름대로의 철학과 소망이 담겨있는 것이다.

 


연극 특별한 저녁식사는 해체된 가족의 재결합을 주제로 한 이야기이다. 현실적인 캐릭터와 코믹한 상황에 관객들이 몰입하고 공감할 수 있게 한다. 핵가족화 된 혹은 핵가족 조차도 해체되어 1인 가족이 즐비한 우리 현실의 모습을 코믹하게 풍자한 이 연극에서 우리는 진지하게 혹은 유머스럽게 진정한 가족의 참된 의미를 곱씹고, 현대인들이 마주한 소통의 문제를 생각해볼 수 있지 않을까 생각해본다.